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3.10 20:05 수정 : 2011.03.10 20:05

금융위원회가 어제 강만수 대통령 경제특보를 산은금융지주 신임 회장으로 내정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강 특보가 ‘산은지주를 이끌어나갈 적임자’라고 평가했다지만,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대통령 측근 챙기기 인사일 뿐 아니라 산은지주의 앞날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강 특보의 산은지주 회장 내정을 당장 철회해야 한다.

강 특보의 산은지주 회장 내정은 기존의 금융계 ‘낙하산 인사’와도 차원이 다르다. 정부 영향력 아래 있는 산업은행의 경우, 과거에도 고위 관료들이 은행장으로 내려오긴 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 초대 기획재정부 장관까지 지낸 강 특보는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현 정권의 실세다. 이런 이를 산은지주 회장에 내정한다는 것은 대통령 측근에 대한 전형적인 보은인사이자 특혜다.

현재 산은지주가 처한 상황을 볼 때도 강 특보는 적임이 아니다. 산업은행은 민영화를 앞두고 있는데다 대우조선 등 여러 기업의 대주주로서 이들 기업의 구조조정을 추진중이다. 전형적인 관치주의자인 강 특보가 산은지주 회장에 임명될 경우, 민영화 작업이 제대로 진행될지 의문이다.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정권 실세들의 입김이 개입될 소지도 없지 않다.

더욱 한심한 일은 강 특보의 산은지주 회장 내정 이유 중 하나가 개인 사정 때문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다는 점이다. 가정적으로 거액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수억원대의 연봉을 받을 수 있는 금융기관장 자리가 필요했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시중에서는 ‘생계형 낙하산’이라는 비아냥까지 나돈다. 이를 뒷받침하듯 금융위원장은 강 내정자의 연봉을 올려줄 생각이라고 말했다.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이 정부는 국책은행을 대통령 측근의 빈주머니 채워주기용쯤으로 여기는 셈이 된다. 아무리 잇속 챙기기에 이골이 난 정권이라고 하더라도 이건 정말 너무하지 않은가.

강 특보는 고환율 정책으로 수출대기업의 배를 채워주고, 종합부동산세를 무력화해 ‘강부자’들의 주머니를 두둑이 해준 ‘엠비(MB)노믹스’의 대표주자다. 이렇게 이 정권의 지지세력들을 만족시켜 줬으니 이제 산은지주 회장으로 가서 제 주머니를 채우겠다는 건가. 최소한의 염치라도 있다면 강 특보 스스로 산은지주 회장 제청을 받아들이지 말아야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이 그나마 30여년 공직생활의 마지막 명예를 지키는 길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