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산업은행이 강만수 경제특보의 ‘밥그릇’인가 |
금융위원회가 어제 강만수 대통령 경제특보를 산은금융지주 신임 회장으로 내정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강 특보가 ‘산은지주를 이끌어나갈 적임자’라고 평가했다지만,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대통령 측근 챙기기 인사일 뿐 아니라 산은지주의 앞날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강 특보의 산은지주 회장 내정을 당장 철회해야 한다.
강 특보의 산은지주 회장 내정은 기존의 금융계 ‘낙하산 인사’와도 차원이 다르다. 정부 영향력 아래 있는 산업은행의 경우, 과거에도 고위 관료들이 은행장으로 내려오긴 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 초대 기획재정부 장관까지 지낸 강 특보는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현 정권의 실세다. 이런 이를 산은지주 회장에 내정한다는 것은 대통령 측근에 대한 전형적인 보은인사이자 특혜다.
현재 산은지주가 처한 상황을 볼 때도 강 특보는 적임이 아니다. 산업은행은 민영화를 앞두고 있는데다 대우조선 등 여러 기업의 대주주로서 이들 기업의 구조조정을 추진중이다. 전형적인 관치주의자인 강 특보가 산은지주 회장에 임명될 경우, 민영화 작업이 제대로 진행될지 의문이다.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정권 실세들의 입김이 개입될 소지도 없지 않다.
더욱 한심한 일은 강 특보의 산은지주 회장 내정 이유 중 하나가 개인 사정 때문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다는 점이다. 가정적으로 거액이 필요한 상황이어서 수억원대의 연봉을 받을 수 있는 금융기관장 자리가 필요했다는 것이다. 이를 두고 시중에서는 ‘생계형 낙하산’이라는 비아냥까지 나돈다. 이를 뒷받침하듯 금융위원장은 강 내정자의 연봉을 올려줄 생각이라고 말했다. 만약 이게 사실이라면 이 정부는 국책은행을 대통령 측근의 빈주머니 채워주기용쯤으로 여기는 셈이 된다. 아무리 잇속 챙기기에 이골이 난 정권이라고 하더라도 이건 정말 너무하지 않은가.
강 특보는 고환율 정책으로 수출대기업의 배를 채워주고, 종합부동산세를 무력화해 ‘강부자’들의 주머니를 두둑이 해준 ‘엠비(MB)노믹스’의 대표주자다. 이렇게 이 정권의 지지세력들을 만족시켜 줬으니 이제 산은지주 회장으로 가서 제 주머니를 채우겠다는 건가. 최소한의 염치라도 있다면 강 특보 스스로 산은지주 회장 제청을 받아들이지 말아야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이 그나마 30여년 공직생활의 마지막 명예를 지키는 길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