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3.15 20:01 수정 : 2011.03.15 20:01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의 재난 상황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나흘 사이 제1원전의 원자로 6기 가운데 4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폭발 등 사고가 일어나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졌다. 나머지 원자로 2기에서도 이상이 나타났다. ‘제2의 체르노빌’ 참사 가능성에 대한 우려마저 제기되는 상태다.

특히 격납용기가 손상되고 사용후 핵연료에서 폭발이 일어난 어제 2·4호기 사고는 심각하다. 격납용기가 파손된 원자로에서 노심의 용융이 발생하면 필연적으로 대규모 방사능이 누출될 수밖에 없고, 사용후 핵연료에서 발화가 일어날 경우 용융 때보다 더 많은 양의 위험물질을 누출시킬 수 있다. 실제로 원자로 인근 방사선 수치는 한때 400밀리시버트(원전노동자에게 1년간 허용되는 누적치의 20배 수준)까지 치솟았으며 도쿄 인근에서도 미량의 방사선이 검출됐다고 한다.

지금 상황을 종식시키지 못하고 사태가 계속 악화되는 것은 상상만 해도 끔찍하다. 현재 문제가 된 원자로의 냉각에 실패해 핵연료가 모두 용융돼 방사능 물질이 전면적으로 유출된다면 일본은 물론이고 우리나라도 위험에 빠진다. 일본 정부와 원전 운영 주체인 도쿄전력은 상황 악화를 막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기를 바란다.

하지만 지금까지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이 보여준 대응태세를 보면 안심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이미 1970년대에 미국 원자력위원회는 후쿠시마 원전의 원자로 모델이 폭발에 취약하고 노심 용융이 발생할 경우 방사능 누출 위험이 크다고 경고한 바 있다. 그 뒤 미국의 원자력규제위원회나 일본 시민단체들도 여러 차례 이 모델 격납건물의 강도가 약하고 내압시스템에 견고하지 않다는 문제제기를 했다. 그럼에도 도쿄전력은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않았으며 나아가 자체 안전성 검사기록을 조작하고 은폐하기까지 했다.

도쿄전력의 이런 태도는 아직도 고쳐지지 않은 듯하다. 지진해일 이후 상황과 관련해 많은 전문가들은 일본 정부와 도쿄전력 쪽이 불완전하고 일관성 없는 정보를 제공해 사태 파악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고 비판한다. 이런 태도로는 일본 국민은 물론 주변국의 불안을 잠재우기 어렵다. 현재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온전하게 공개하고 필요하면 국제사회의 도움을 적극 요청해야 한다. 제2의 체르노빌 참사는 반드시 막아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