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3.21 20:20 수정 : 2011.03.21 20:20

대지진으로 방사성 물질 누출 사고가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제1원전 부근 농가의 시금치, 우유, 쑥갓 등에서 기준치의 수십배에 이르는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 인근 지역 수돗물에서도 기준치의 세배에 이르는 방사성 물질이 검출됐다. 갑상샘암을 일으키는 요오드와 근육 조직을 파괴시키는 세슘 등이다. 그동안 ‘설마’ 했던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채소류에서 발견된 방사성 물질이 미량이기 때문에 장기 복용하지 않는 한 인체에 위험이 없다고 말한다. 맞는 말이다. 한번의 오염으로 당장 인체에 해가 가지는 않는다. 그렇다고 아무 일 없다는 듯이 그냥 물로 씻어 먹을 수는 없다. 지역에 따라, 작물에 따라 방사성 물질에 오염된 정도는 얼마든지 다를 수 있다. 당연히 최악의 상황을 가정하고 대처해야 한다. 그렇게 보면 주변 농가와 수돗물에 대한 2차 오염 사태는 결코 가벼이 넘길 일이 아니다.

일본 정부가 원전 주변에서 생산된 농수산물의 유통을 차단하고 나선 것은 적절한 조처다. 그러나 일본이 농수산물의 국내 유통에만 관심을 둬서는 안 된다. 안전 여부가 확인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수출에 신중해야 한다. 대만에서는 이미 일본산 채소에서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상황이다. 수출을 하더라도 철저한 검사가 선행돼야 한다.

우리 정부도 일본산 또는 일본 경유 수입 식품에 대해 오염 검사를 강화하고 있으나 그렇게 미더워 보이지는 않는다. 일본산 농수산물에 대한 방사성 검사를 14일부터 시작했지만 건조 및 냉동 농수산물과 가공식품, 건강기능식품 등에 대해서는 사고 열흘이 지난 어제 비로소 검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또 축산물에 대해서는 전수검사를 하고 있는 데 반해 수산물에 대해서는 주 1회 모니터링하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국민을 안심시키기에는 상당히 부족한 형편이다.

정부의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은 국내의 불필요한 혼란을 막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국내에선 이미 지난주 말부터 대형 마트 등을 중심으로 먹을거리에 대한 불안심리가 커져가고 있다. 비록 일본산 농수축산물 수입량이 많지 않고 아직 방사성 물질이 검출된 사례가 없다 해도 이를 소홀히 다뤄서는 안 된다. 체르노빌 원전 사고 당시 1000㎞ 이상 떨어진 영국에서 우유와 유제품 판매 제한 조처가 내려졌던 사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