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3.22 20:28 수정 : 2011.03.22 20:28

비비케이(BBK) 사건의 주역 중 한 명인 에리카 김이 갑자기 귀국했을 때부터 세간에는 기획입국설, 정권과의 거래설 등이 무성했다. 그런 짐작을 뒷받침이라도 하듯 최근 검찰은 그에게 완벽한 면죄부를 안겨주었다. 허위사실 유포에는 ‘공소권 없음’ 결정을, 횡령 혐의에는 기소유예 처분을 내렸다.

검찰의 조처는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만큼 파격적이다. 회사 자금 319억원을 횡령한 혐의를 확인하고서도 동생 김경준씨가 중형을 살고 있다는 이유를 들어 기소유예 처분을 내린 것부터 그렇다. 미국에 범죄인 인도 요청도 하지 않았던 검찰이 시효중지 규정을 적용하지 않고 공소시효 소멸을 들고 나온 것도 쉽사리 이해하기 힘들다. 애초부터 결론을 내놓고 수사는 단지 시늉만 했다는 느낌을 지우기 힘들다.

김씨는 검찰의 선처를 받는 대신에 ‘보은’도 확실히 했다. “이명박 후보가 비비케이 실소유주라는 2007년 발언은 거짓말이었다”는 등의 진술을 통해 이 대통령 혐의 벗기기에 나섰다. 그가 2007년 언론 인터뷰를 통해 “동생 경준이가 범죄자면 이 후보도 범죄자다”는 등의 주장까지 했던 것에 비하면 태도가 180도 바뀌었다. 그때의 말이 거짓이고 지금의 진술이 진실인지, 아니면 반대로 이제는 살기 위해 거짓말을 하고 있는지는 당사자의 양심이 알 것이다. 분명한 것은 그가 이런 말바꾸기를 통해 자유의 몸이 됐을지는 모르지만 인격과 신뢰성은 파탄 상태에 빠졌다는 점이다.

더욱 관심을 끄는 것은 140억원대의 투자금 반환 문제로 소송을 벌이고 있는 김경준씨와 다스 쪽이 합의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과 스위스에 있는 김씨 남매의 재산이 재판 결과에 따라 날아갈 처지에 있다는 점에서 양쪽이 타협해 재산을 나눠 가지려고 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김씨가 지난해 11월 미국 캘리포니아 법원에 “다스는 이명박 대통령의 소유”라는 자필 청원서까지 보냈던 점을 고려하면 이런 의혹은 더욱 짙어진다.

검찰이나 청와대 등에서는 에리카 김에 대한 수사 종결로 이명박 대통령의 무죄가 더욱 확실하게 굳어졌다고 흡족해할지 모른다. 하지만 많은 국민들의 눈에는 오히려 정반대다. 에리카 김에 대한 면죄부, 다스와의 합의 등 최근 일련의 사태가 하나의 잘 짜인 각본처럼 보이면서 의혹과 궁금증은 더욱 커졌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