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4.05 20:26 수정 : 2011.04.05 20:26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뿜어져 나오는 방사성 물질이 전세계로 퍼져나가고 있다. 대량의 방사능 오염수가 바다로 흘러든 데 이어 오는 7~8일에는 방사성 물질이 직접 우리나라에 유입될 것이란 예상까지 나온다. 그런데도 일본은 관련 정보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는 무성의한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일본은 방사성 물질의 확산 경로와 농도 등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관련국들과 공동 대응하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현재 4기가 한꺼번에 방사성 물질을 내뿜고 있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사고 등급이 체르노빌 수준을 능가할 것이라는 주장까지 나온다. 편서풍 덕에 안전할 것이라던 한반도 전역에서도 요오드와 세슘 등의 검출 빈도와 농도가 점점 강해지고 있고, 바닷물과 해산물 오염에 대한 우려도 이웃나라들을 중심으로 점차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일본 정부의 태도는 무책임하기 그지없다. 그제 밤부터 바다에 버리기 시작한 1만1500t에 이르는 저농도 방사능 오염수에 대해서도 일본 정부는 직접적 피해자가 될지도 모를 이웃나라들에조차 알리지 않았다. 도쿄전력은 인체에 해가 없다고 주장하나, 그들끼리만 ‘보고’하고 ‘양해’한 내용을 우리가 어떻게 믿겠는가. 원전 안의 고농도 방사능 오염수는 얼마나 되는지, 얼마가 이미 흘러나갔는지, 저농도와 고농도 오염수는 분명히 분리돼 있는 것인지 그들 외에는 아무도 정확하게 모른다.

또 오는 7~8일께는 방사성 물질이 남서풍을 타고 한반도에 직접 유입된다는데도 우리는 일본으로부터 아무런 정보를 받지 못하고 있다. 일본은 방사성 물질 확산 양상을 예측하는 ‘스피디(SPEEDI) 시스템’을 통해 사전에 이를 알았던 모양이지만 우리 쪽에 아무것도 알려주지 않았다. 우리 정부가 이런 사실을 알게 된 것은 유럽 쪽 기상청 모의실험 결과가 인터넷을 통해 퍼진 뒤였다.

일본 언론은 미국, 프랑스, 독일, 영국 등에 지원을 요청한 이번 원전사고 대처방식이 대형 원전사고에 대한 국제사회 공동대처로는 첫 사례가 될 것이라고 했지만, 정작 이웃나라들은 거기서도 빠져 있다. 이는 2030년께 원전 최대 밀집지역이 될 가능성이 높은 이 지역의 향후 원전사고에 대비한 공동대처의 좋은 선례를 만들 기회를 박탈하고 있는 셈이다. 일본 정부의 이웃에 대한 배려와 발상 전환을 촉구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