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4.15 19:42 수정 : 2011.04.15 19:42

청와대에서 대통령의 친인척 관리를 맡는 부서는 정권마다 조금씩 다르다. 대개 민정수석실에서 맡는 게 일반적이지만 때로는 총무수석실에서 담당할 때도 있었다. 어느 수석실이 친인척 관리를 맡든 업무의 주안점은 똑같다. 대통령의 친인척이 이권에 개입하거나 청탁 행위 등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도록 감시·감독하는 것이 최우선적인 임무다.

그런데 이 정권은 별나게도 친인척의 뒤치다꺼리나 해주고 해결사로 나서는 일이 친인척 관리의 주임무라고 착각하고 있는 듯하다. 이명박 대통령 부인 김윤옥씨의 사촌오빠 김재홍씨가 이사로 있는 서일대학에서 일어난 일이 바로 그런 경우다. 청와대 민정수석실 관계자들은 이 대학 설립자 이용곤씨가 말다툼 끝에 김씨에게 홍차를 끼얹는 사건이 발생하자 이씨를 찾아가 사과를 강요했다고 한다. “대통령 친인척이니까 민정수석실에 신고했다”는 김씨나, 그런 연락을 받자 달려가 사과하라고 요구한 민정수석실이나 어이없기는 마찬가지다. 민정수석실만이 아니다. 청와대 하명사건을 주로 맡는 경찰청 특수수사과는 서일대학에 대한 수사에 착수했고, 교육과학기술부는 특별감사까지 벌였다고 하니 정부기관들이 김씨 도우미로 총출동한 셈이다.

청와대 쪽은 이런 보도가 나가자 잘못을 인정하기는커녕 오히려 “왜 비리사학을 옹호하려 드느냐”고 따지는 분위기다. 비리 혐의가 있다면 조사해 제재를 하는 것은 마땅한 일이다. 문제는 조사가 어떤 경위로 시작됐느냐다. 서일대학에 대한 수사와 특별감사 시점 등을 보면 정부기관들의 ‘청부수사’ ‘청부감사’ 의혹이 물씬 풍긴다. 이런 작은 규모의 전문대학에 청와대 하명사건을 다루는 경찰청 특수수사과가 직접 칼을 빼든 것부터 상식적으로 맞지 않는다.

과거 예를 보면 친인척 관리 부실은 정권의 명운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현 정권도 결코 안심할 처지가 못 된다. 이미 김윤옥씨의 사촌언니 김옥희씨가 공천 로비 대가로 금품을 받은 혐의가 드러나 구속되는 등 친인척 문제가 심심치 않게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청와대는 이번 사건에 대해 변명만 할 게 아니다. 정부기관들의 과잉 개입 여부 등을 확실히 가려내 관련자들에게 책임을 묻고 다시는 이런 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대통령 친인척들이 설쳐대는 모습처럼 국민의 심기를 어지럽히는 일도 없음을 유념하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