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순천 선거, 야권연대 어디 가고 색깔론이라니 |
4·27 재보궐선거를 앞두고 혼전 양상을 빚고 있는 전남 순천에서 몇몇 무소속 후보들이 민노당 후보를 향해 색깔론 공세를 펼쳐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조순용 후보는 “종북주의를 주장하는 민노당 후보를 내세운 야권연대는 성공할 수 없다”고 말했고, 김경재 후보 역시 김선동 후보를 종북세력으로 공격했다고 한다. 두 후보 모두 공교롭게도 고 김대중 대통령 밑에서 정치를 배운 사람들이다. 색깔론의 폐해를 누구보다도 잘 아는 사람들이 이런 치졸한 공격을 펼쳤다는 점에서 더욱 실망스럽다.
순천은 소설 <태백산맥>을 쓴 조정래 작가의 고향이자 이 소설의 주요 무대가 된 곳이다. 해방 이후 좌우 이념 대립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이 소설의 위대한 가치를 새삼 재론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조 후보는 “여순사건 등을 경험한 순천의 노인분들 사이의 보수적 분위기를 말한 것일 뿐”이라고 해명했다지만 변명이 되지 않는다. 민노당을 종북주의 세력으로 규정한 조 후보나 김 후보는 과거 <태백산맥>을 이적표현물로 몰고가려던 공안당국과 무엇이 다른가.
민주당이 순천 재보선에서 ‘무공천’ 방침을 확정한 것은 내년 총선·대선에서의 야권연대의 중요성을 고려한 결과일 것이다. 하지만 벌어지는 양상을 보면 연대의 정신은 실종된 지 오래다. 이 지역 민주당 인사들이 줄줄이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한 것부터 그렇다. 민주당 지도부 중 상당수가 내심 친민주당 무소속 후보의 당선을 바라고 있다는 것은 이미 공공연한 비밀이 됐다. 심지어 박지원 원내대표 등은 최근 조순용 후보의 선거사무실을 방문하기도 했다.
연대의 기본은 상호신뢰다. 그런데 민주당은 이미 신뢰를 저버렸다. 게다가 선거에서 당선되면 민주당 입당 가능성이 거론되는 무소속 후보 쪽에서 결코 입에 담아서는 안 될 색깔론까지 제기하고 나섰다. 이래서야 앞으로 무슨 야권연대가 이뤄질 것인가. 민주당과 해당 정치인들의 깊은 성찰을 촉구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