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4.22 19:37 수정 : 2011.04.22 19:37

조지 오웰의 소설 <1984년>에서 빅브러더는 텔레스크린과 도청장치 등으로 시민들의 모든 행동을 감시한다. 감시장치는 사회 곳곳에, 심지어 화장실에까지 설치돼 가공할 만한 사생활 침해를 일상화한다. 정보기술이 발전하면서 우리 생활은 몰라볼 만큼 편리해졌지만 소설 못지않은 사생활 침해 상황에 노출되고 있다.

애플의 아이폰과 아이패드가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파일 형태로 저장해왔다는 사실은 충격적이다. 지난해 6월 업데이트된 운영체제에서부터 이런 기능이 생겨 사용자가 있던 장소의 위도·경도가 1초 단위로 저장됐다고 한다. 아이폰과 아이패드 사용자들의 이동 궤적을 손금 보듯 기록해왔다니 빅브러더가 따로 없다. 만에 하나 이 정보가 상업적·정치적으로 악용되면 어찌될까 생각만 해도 오싹하다.

더 놀라운 점은 애플이 사용자 몰래 민감한 개인정보 수집 기능을 넣어뒀다는 것이다. 개인정보 보호를 우선시해야 할 정보기술 기업이 ‘승인받지 않은 추적’을 버젓이 해온 것이다. 더욱이 위치정보 파일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처리돼 쉽게 접근할 수 있다고 한다. 사용자가 아이폰을 컴퓨터와 동기화할 경우 아이폰에 기록된 위치정보가 컴퓨터로 복사되고 이것 또한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저장된다는 것이다. 이렇게 사용자의 이동 궤적을 빠짐없이 챙긴 것을 보면 특정한 목적에 사용하기 위해 위치정보 수집 기능을 의도적으로 집어넣었음이 틀림없다.

애플은 사용자 위치 등 정보를 모을 수도 있다고 약관에 명시했다는 등의 변명을 하면서 수집된 정보를 어떻게 이용했는지 밝히지 않고 있다. 소비자에 대한 철저한 우롱이 아닐 수 없다. 애플은 정보 수집의 목적과 용처를 분명히 밝히고, 불법적인 정보 수집에 대해서 응당한 처벌을 받아야 한다.

개인정보 관리가 허술한 것도 문제다. 아이폰을 분실하거나 외부 침입자가 들어올 경우 암호화가 안 돼 있어 개인정보를 통째로 볼 수 있다니 부작용을 막을 조처가 시급하다.

아이폰 등 새로운 정보기기를 누구보다 빨리 활용하는 우리 국민이 더 많은 피해를 입었을 가능성도 크다. 지난해 구글은 인터넷 지도인 스트리트뷰를 제작하면서 공개되지 않은 개인간 통신 내용까지 수집해 문제가 됐다. 정부는 외국 기업이라고 한발 물러설 게 아니라 더 적극적으로 정보 침해에 대응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