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4.25 08:24 수정 : 2011.04.25 08:24

부산저축은행이 영업정지 전날인 지난 2월16일 밤 브이아이피(VIP) 고객 수십명의 예금 100여억원을 몰래 빼내준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 황당한 것은 그런 편법 인출이 벌어지고 있던 당시에 금융당국 관계자들이 해당 지점에서 감독 업무를 수행중이었다고 한다. 아무것도 모른 채 1000여억원을 날린 선의의 피해자들 처지에서 보면 분통이 터질 일이다. 누가 이런 지시를 내렸는지, 돈을 빼내준 고객은 누구인지, 금융당국은 무얼 하고 있었는지 낱낱이 밝혀야 한다.

먼저 부산저축은행의 부도덕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은행 쪽은 다수의 소액예금자들은 철저히 무시하고, 소수의 고액예금자들에게만 엄청난 특혜를 주었다. 예금 인출자들은 주로 은행 대주주나 임직원과 가깝거나 지역 유력인사들이었다고 한다. 더욱이 일부 직원들은 자기 예금까지 찾으려고 했다니 금융기관으로서 최소한의 직업윤리마저 내팽개친 셈이다.

영업정지 방침이 하루 전에 누출된 경위도 명백히 가려야 한다. 영업정지 전날 저녁 서울 여의도에서는 금융당국 관계자와 은행 대주주들이 모여 영업정지 여부에 대해 논의했다고 한다. 이 자리에서 영업정지 방침이 확정된 시간과 거의 동시에 부산의 은행 본·지점에서는 편법 인출이 시작됐다고 하니 누군가 이 사실을 곧바로 은행 쪽에 알려주었을 것이다. 부산 쪽 유력인사가 금융당국을 통해 미리 영업정지 방침을 알고 은행에 항의했다는 얘기도 있는 만큼 금융당국도 누출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금융당국의 감독 책임도 철저히 따져 물어야 한다. 은행에서 편법 인출이 진행될 당시 은행에서 감독 업무를 수행하던 감독당국 관계자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부터 밝혀야 한다. 영업시간이 한참 지난 뒤에 전산망을 다시 가동해 거액이 인출되고 있었는데도 이를 몰랐다는 게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 더욱이 이런 일이 과거에도 몇 차례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도 같은 일이 또 일어난 것은 감독당국의 직무유기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부산저축은행은 이번 영업정지로 고객들에게 1000여억원의 손해를 끼쳤다. 그런데 그 뒷전에서 브이아이피 고객의 거액예금을 몰래 빼내주었다는 건 도저히 그냥 넘어갈 수 없는 사안이다. 금융당국의 면밀한 경위조사와 함께 검찰 등 수사당국의 철저한 수사가 뒤따라야 함은 물론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