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5.01 19:41 수정 : 2011.05.01 22:17

동해의 국제적 호칭 문제와 관련해 정부가 “동해와 일본해 표기를 병행해야 한다”는 공식견해를 지난달 국제수로기구(IHO)에 제출했다. 오늘까지 공식의견을 제출해달라는 기구 쪽 요청에 따른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번 조처는 지나치게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대응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정부는 주요국이나 국제기구들 다수가 동해를 일본해로 표기하는 상황에서 일본해로의 단독표기 확정이라는 최악의 경우를 막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또한 우리의 주장이 반영돼 병행 표기가 많아지면 단독 표기를 추진하겠다고 하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할지 의문이다. 설사 동해의 병행 표기가 많아진다 해도, 그것만으론 일본해라는 호칭이 굳어지고 다수가 그것을 사용해온 관행을 바로잡을 길이 없기 때문이다.

일본은 일본해라는 명칭이 17세기 이래 국제적 주류 명칭으로 자리잡은 점을 들며, 단지 한반도 동쪽 바다라는 의미의 동해가 보편성이 없는 이름이라 주장한다. 그렇게 따지면 일본해야말로 더 문제다. 남북한과 러시아 등 4개 나라로 에워싸인 바다를 특정 국가 이름으로 부르는 것은 동쪽뿐만 아니라 동양이라는 뜻도 담고 있는 동해보다 더 보편성이 없기 때문이다. 발트해, 지중해, 흑해나 카스피해를 보더라도 세계적으로 이런 예가 없다.

일본은 17세기 이후 세계지도에서 조선해나 동해보다 일본해 표기 사례가 더 많다는 주장도 하지만, 그것은 조사·연구비를 투입하는 국가의 현재 역량에 비례하며, 근대에 일본이 서양 교두보나 제국주의 국가로 등장한 역사적 사실과 관련이 깊다. 일본해는 1904년 러일전쟁 뒤 세계에 각인됐고 한반도 식민화로 굳어졌으며, 한국이 1990년대에 와서야 이를 문제삼을 수밖에 없었던 한-일 간 국력 격차 때문에 관행은 지속됐다.

한국은 이제 제국주의 식민지배 잔재가 밴 그런 관행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처지가 아니다. 동해라는 명칭에도 문제가 있다면 ‘평화의 바다’처럼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명칭들을 놓고 관련국들과 협의하거나, 1992년 국제수로기구가 일본해 표기를 지도에서 한때나마 삭제하게 만들었던 남북 공동대응 방안도 더 적극적으로 강구해야 한다. 마침 북이 이 문제에 공동대처하자는 제안을 해왔고 남도 이를 수용했다고 하니 다행이다. 일본도 기득권에 연연하지 말고 공생을 추구하는 열린 자세를 보여주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