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암검진 질적 개선 방안 찾아야 한다 |
지난 1999년부터 시행된 국가암검진사업의 비용 대비 효과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처음 나왔다. 지난 9일 보건복지부와 국립암센터 등이 주최한 포럼에서 박은철 연세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가 발표한 평가 결과는 충격적이다. 1차 검진의 정확성이 지나치게 낮게 나온 것이다. 의심 진단을 받은 사람이 최종 진단에서 암이 아니라는 결과를 얻기까지 들여야 할 시간과 비용이 적지 않은데다 그동안 겪어야 할 불안과 공포까지 생각하면 끔찍한 일이다. 가계수지와 건강보험의 재정 건전화를 위해서도 암검진의 질적 개선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것이다.
암은 우리나라 국민 사망 원인 1위인 무서운 질병이다. 조기 검진으로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정부가 나서서 건강보험 부과기준 하위계층을 상대로 조기 암검진 사업을 추진하게 된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하지만 실태를 제대로 파악하지 않고 검진 대상만 늘리는 쪽으로 사업을 추진하다 보니 부작용도 적지 않은 듯하다.
무엇보다 의심 진단의 남발이 심각하다.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유방암의 경우 1차 검진에서 암이 의심된다는 진단을 받았으나 확진 검사에서 암으로 판정되는 비율이 1000명 가운데 6명꼴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암으로 최종 판정되는 비율이 5~10% 정도인 미국 등 선진국에 견주면 1차 검진의 정확도가 지나치게 낮은 것이다. 물론 조기 암검사가 완벽할 수는 없다. 의심이 가면 추가 검사를 받는 것도 당연하다. 하지만 오차가 너무 크면 얘기는 달라진다. 지금과 같은 오차 수준은 일부 의료기관이 과잉진단을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까지 불러일으킨다.
수검자의 가족력이나 생활습관 등에 따른 암 발병의 위험성을 따지지 않고 기계적으로 다섯가지 암을 모두 검사하는 것도 비효율적이다. 검진 장비와 검진 방식의 적합성, 의료기관 진단 인력의 전문성 등도 이번 기회에 제대로 짚어볼 일이다. 예컨대 현재 대부분의 유방암 진단에 적용되는 유방촬영술은 우리나라 여성의 체형에는 맞지 않는다는 게 많은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국가암검진사업에는 해마다 수천억원의 정부 예산과 건강보험 재정이 투입된다. 환자 스스로 부담해야 하는 검사비도 만만치 않다. 정부와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고 우리나라 국민에게 맞는 적합한 검진 지침을 마련해야 할 때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