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7.06 19:58 수정 : 2005.07.06 19:58

교육인적자원부와 열린우리당이 2008 학년도 서울대 입시가 통합형 논술고사 중심으로 치러지는 걸 막기로 했다. 당정은 통합형 논술이 좌우하는 입시안은 공교육 정상화 취지에 어긋난다고 보고 이런 결정을 내렸다. 서울대가 이를 거부하면 행정적 제재를 가하고, 필요하면 법 제정을 통해서라도 막기로 했다. 정부와 여당이 교육 정상화 의지를 분명히 보여준 것은 환영할 일이다.

얼마 전 발표된 서울대의 새 입시안은 교육 관련 단체들로부터 변형된 본고사와 다를 게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 특히 통합형 논술은 현재의 고교 교육을 통해 준비하기 어려운 것이어서, 사교육을 피할 길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목고 진학 경쟁이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도 높다.

게다가 사립대학들도 통합형 논술 도입 계획을 잇달아 내놓고 있는 실정이다. 정치권이 나서기 전에 교육부가 문제를 사전에 차단해야 옳았지만, 이제라도 태도를 분명히한 것은 다행이다.

일각에서는 정부와 정치권이 일개 대학과 전면전이라도 벌이겠다는 태도를 보이는 건 과도하다고 비판할지 모른다. 원론적으론 맞는 말이다. 이것이 정상은 아니다. 하지만 더 비정상적인 것은 우리의 대학입시 풍토다. 서울대의 입시 방향에 따라 교육 현장이 움직이고, 사교육 시장도 요동치는 게 현실이다. 이 런 복잡한 와중에 어린 학생들이 겪는 고통은 말로 다할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서 대학의 자율성만을 내세우는 건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없다.

이번 사태가, 대학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면서도 자율성을 유지하는 쪽으로 해결되느냐 여부는 전적으로 서울대에 달렸다. 정부가 제재를 가하고 법으로 입시 문제를 규제하는 사태가 벌어지는 걸 바라는 이는 아무도 없을 것이다. 서울대는 하루속히 태도를 바꿔 논란을 가라앉혀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