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제민주연대의 뜻깊은 시도 |
나라 밖에서 활동하는 우리 기업들이 노동자의 인권을 유린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 것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심지어 한국 자본주의를 ‘아류 제국주의’로 규정하는 분석까지 나오기도 했다. 시민단체인 국제민주연대가 국외 한국기업들의 인권유린을 정기적으로 고발하고 개선책을 마련하기 위해 온라인 소식지를 내기로 한 것이 뜻깊은 까닭이다.
물론, 노동자의 임금을 낮추려 하거나 노조 설립을 막으려는 경영진의 시도는 비단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라 다국적 기업의 보편적 현상이다. 하지만 노동자에게 폭력을 서슴지 않고 ‘폐업과 재창업을 통한 노동탄압’까지 하는 것은 한국 기업인들만의 행태라는 비판은 뼈아프다. 최근 한국기업이 미국령 서사모아에서 베트남 여성을 비롯해 250여 노동자에게 ‘노예노동’을 시켜 국제적 지탄을 받은 사건은 국외에 있는 한국기업들의 윤리가 얼마나 추락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국제민주연대는 1999년 참여연대에서 떨어져나온 뒤 나라 밖에 투자한 한국기업에 대한 감시를 꾸준히 벌이며 세계 시민사회 단체들과 연대를 모색해 왔다. 한국기업이 저지른 인권유린의 오명을 부분적이나마 씻어온 셈이다. 기업이 나라 밖에서 커나가는 데 여러 어려움이 있음을 모르지 않는다. 더러는 시민단체의 고발에 부정적인 기업인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길게 볼 일이다. ‘인권유린 기업’이라는 낙인이 찍히면 그 기업의 성장은 물론, 다른 한국기업의 진출에도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다.
이 참에 노동탄압 근절에서 나아가 그 나라의 문화와 인권을 존중하며 기업활동을 펼쳐가는 계기로 삼아야 옳다. 그러자면 기업인들의 결단이 필요하다. 장기적인 기업발전을 위해서라도 인권개선에 기업인들 스스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