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의혹 덩어리 ‘캠프 마켓’도 공동조사해야 |
한-미 주둔군지위협정(소파) 환경분과위원회가 어제 캠프 캐럴에 대한 공동조사에 나섰다. 인근 지하수에서 맹독성 발암물질인 트리클로로에틸렌이나 테트라클로로에틸렌이 검출되는 등 끔찍한 사실들이 잇따라 드러나 주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으니, 신속하고 엄정한 조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그러나 환경분과위는 캠프 캐럴 이외에 의혹이 제기된 다른 기지는 대상에서 제외했다. 진정성을 의심받을 수 있는 안이한 조처가 아닐 수 없다.
무엇보다 인천의 주거지역 한가운데 있는 캠프 마켓을 뺀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캠프 마켓은 미국 공병단이 발간한 문서를 통해서도 맹독성 위험물질을 불투명하게 처리한 사실이 드러난 곳이다. 폐기물 처리시설이 있는 이곳은 1987년 한해에만 수은, 석면, 황산나트륨 용액 등 위험물질 500드럼 이상을 처리했다. 1989년엔 독성물질 폴리염화비페닐 448드럼을 처리했다고만 밝히고, 어디에서 어떻게 처리했는지 기록을 남기지 않아 미국 회계감사원의 지적을 받기도 했다.
그런 결과인지 몰라도 2008년 인천 부평구가 기지 주변 지역을 조사한 결과, 토양과 지하수에선 기준치보다 2.4배에서 최고 12배까지 높은 벤젠·납 등이 검출됐다. 폐기물처리장과 인접한 아파트단지 주변에선 석유계총탄화수소가 기준치보다 최고 32배나 많이 검출됐다. 2009년 환경관리공단 조사에선 캠프 캐럴에서 검출된 것과 같은 독성물질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이 기준치보다 2.7배, 2.3배씩 검출됐다. 게다가 캠프 마켓은 캠프 캐럴에 파묻었던 화학물질 등을 옮긴 곳으로 의심받고 있다. 캠프 캐럴의 고엽제 의혹과 관련해서도 문서검증, 토양조사 등이 반드시 필요한 곳이다.
이 기지는 평택 미군기지가 완공되면 그리로 이전하게 된다. 부지를 반환할 땐 어차피 환경조사를 해야 한다. 그러니 굳이 조사를 미뤄 공연히 의혹을 부풀릴 필요가 없다. 여론의 압력에 밀려서 하기보다는 자발적으로 공동조사를 하는 게 현명하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