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진보정당 통합 결정, 열린 자세로 평가해야 |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을 비롯한 진보진영 대표자들이 어제 새로운 진보정당을 만들기로 뜻을 모았다. 진보정치세력의 분열을 극복하고 대중적 기반을 넓힐 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평가할 만한 일이다.
어제의 결정에서는 두 진보정당이 고집을 내세우지 않고 한 발짝씩 양보해 타협하고 합의를 이뤄냈다는 점이 무엇보다 눈길을 끈다. 정파 간 시각차가 큰 것으로 알려진 북한 정권에 대한 인식 문제에서도 나름대로 절충을 했다. 의견이 엇갈릴 때 저마다 주장을 굽히지 않고 마냥 맞서는 것은 쉬운 일이다. 하지만 뭐가 되든 일을 하려면 합의를 이뤄내야 한다. 특히 정치의 세계에서는 타협과 조정력을 발휘하느냐 못하느냐를 유능한 집단과 무능한 집단을 가르는 잣대로 삼을 수밖에 없다. 이번 진보진영의 결정은 진보는 분열로 망한다는 속설을 불식해준다는 점에서도 다행스럽다.
진보진영은 어제 합의문을 통해 내년 대선 국면에서 독자후보 전략과 선거연대의 두 가지 길을 택할 수 있도록 했다. 내년 대선은 민주주의 회복과 진보 가치의 확산을 위한 매우 중요한 계기다. 이런 상황에서 진보정치세력이 어느 한쪽 경로만을 고집하며 운신의 폭을 미리 좁혀두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어제 결정은 진보정치세력이 총선 대선 국면에서 능동적 역할을 할 토대를 만들었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어제 합의문에서 패권주의와 분파주의 극복을 스스로 언급한 점도 평가할 만하다. 과거 민주노동당의 분당은 자주파와 평등파의 그릇된 당운영 행태가 촉발한 측면도 컸다. 분열을 극복하고 통합하는 마당에 과거의 잘못을 겸허하게 성찰하겠다는 뜻으로 받아들이고 싶다. 정파 간 반목을 씻고 앞으로 나아가겠다는 다짐이 흔들리지 않기 바란다.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은 당 대회를 통해 어제 결정을 추인받아야 한다. 토론 과정에서 당원과 대의원들이 열린 자세를 갖는 게 필요하다. 두 정파의 견해차를 작은 것이라고만 볼 수 없다는 주장도 일리는 있다. 하지만 적지 않은 시민들이 이 쟁점들을 두고 뭐가 그렇게 다르며 왜 그리 심각하게 반목해야 하는지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여온 것도 사실이다. 진보정치 운동이 친목 동아리가 아니라 정당운동의 형태를 택한 이상 시민들의 눈높이를 외면해선 안 된다. 시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적극적인 후속 토론을 기대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