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6.05 18:40 수정 : 2011.06.05 19:19

경영계가 엊그제 열린 최저임금위원회 전원회의에서 내년에 적용될 최저임금안으로 시간당 4320원을 제시했다. 올해 최저임금 4320원에서 한 푼도 올릴 수 없다는 것으로, 노동계가 요구한 5410원(인상률 25.2%)과는 차이가 크다. 아무리 협상의 출발점을 내놓은 것이라도 터무니없고 실망스럽다. 경제가 호전되는데도 양극화는 심화하고, 물가까지 폭등해 서민들의 삶이 파탄나는 현실을 철저히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영계는 2007년 이후 ‘최저임금 0% 인상’안을 관행처럼 내놓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타격을 입은 2009년에는 -5.8%를 주장하기도 했다. 2000~2006년에는 낮게는 2.6%, 높게는 5.4%의 인상률을 출발점으로 제시한 것과 견주면 한층 보수적인 태도로 돌아선 것이다.

하지만 여러 경제지표들을 따져볼 때 경영계의 요구는 설득력이 없다. 흔히 임금인상률 산출의 기초지표인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보면, 정부와 민간 경제연구소 모두 올해 5% 안팎의 경제성장률을 예상하고 있다. 또 물가상승률은 올해 들어 5개월 내내 4%를 웃돌고 있다. 이를 토대로 노동계는 적어도 9%대의 임금인상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여기에다 생활임금에 턱없이 못미치는 노동자들의 삶을 개선하려면 추가적인 임금인상이 절실하다. 노동계가 얼핏 보기에 과도한 25%의 인상률을 제시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시간당 5410원을 월급으로 환산하면 113만690원으로, 지난해 전체 노동자 평균임금인 226만4500원의 절반에 조금 못미친다. 최저임금이 평균임금의 50%는 돼야 저임금 노동자의 생계 보장과 소득 재분배가 가능하다고 노동계는 계산하는 것이다. 유럽연합의 경우 최저임금이 전년도 전체 노동자 평균임금의 60%가 될 수 있도록 인상률을 결정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또 우리 경제가 글로벌 금융위기를 비교적 슬기롭게 극복하고 지난해 6.1%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해 기업들의 임금인상 여력도 충분히 갖취진 상황이다.

경영계는 말로만 노사 상생을 외칠 게 아니라, 최소한의 신뢰라도 얻을 수 있도록 최저임금 인상률을 높여 제시해야 한다. 아울러 최저임금위는 노동자 생활안정과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한다는 취지에 걸맞게 경영계의 태도 변화를 적극적으로 촉구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