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저축은행 뱅크런 막을 근본적인 처방 내려야 |
프라임저축은행의 예금인출 사태가 어제까지 이틀째 이어지고 있다. 검찰이 이 은행 대주주 등에 대해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불법대출 혐의로 수사중인 사실이 알려지면서부터다. 이 은행 지점 5곳에서는 예금자들이 맡긴 돈을 찾으려 번호표를 들고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고 한다. 대규모 예금인출(뱅크런)로 번질 우려까지 제기된다. 프라임과 금융당국은 예금자들을 진정시키려고 여러 방안을 내놓고 있으나 별 효과가 없는 듯하다. 부산저축은행 사태에서 얻은 학습효과로 예금자들은 콩으로 메주를 쑨다 해도 믿지 않는다. 저축은행 예금자들의 불안과 불신을 해소할 수 있는 근본적인 처방이 나와야 할 상황이다.
자산의 대부분이 고객이 맡긴 예금으로 구성되어 있는 저축은행에서 뱅크런은 치명적이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 같은 건전성 지표가 아무리 좋다 해도 예금자들이 한꺼번에 인출을 요구하면 버틸 수 있는 은행은 없다. 이런 뱅크런은 초기에 진화하지 못하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는 속성이 있다. 자칫 건전하게 영업해온 우량 저축은행들까지 궁지에 몰리지 않을까 우려된다.
올해 초 영업정지된 부실 저축은행 8곳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행되면서 저축은행 예금자들은 혹시나 하는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다. 내부 비리로 검찰 수사를 받는다는 소식이 나오거나 부실 징후가 조금만 엿보이더라도 순식간에 예금인출 사태가 벌어진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상반기 중 영업정지되는 저축은행은 없다”는 방침을 거듭 밝혔지만, 시장에서는 그다지 신뢰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저축은행 예금자들이 동요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부실이 어느 정도인지 제대로 알 수 없다는 데 있다. 대부분 저축은행이 비상장기업이고 특정 대주주가 지배하고 있어 회계의 투명성이 낮다. 금융당국도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저축은행의 재무제표를 3개월마다 공시하기로 약속했으나 아직 미적거리고 있다. 실적이 공개될 경우 시장의 동요를 더 키울 수 있다는 자체 판단에서다. 감독당국의 이런 태도야말로 예금자들의 불안을 증폭시키고 전체 저축은행 업계를 위기에 빠뜨리는 요인이다. 지금 저축은행 업계는 ‘중대하고 결정적인 순간’에 놓여 있다. 투명성을 높이고 부실은 과감하게 제거하는 게 전체가 살 수 있는 지름길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