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주5일제 수업, 소외계층 배려 더 철저해야 |
초·중·고 주5일제 수업이 내년부터 시행된다고 한다. 7월부터 5인 이상 사업장으로 확대되는 주5일 근무제에 맞춘 것으로, 이는 우리 사회가 이제 명실상부한 주5일제 사회로 진입하게 됨을 뜻한다. 이 제도는 삶의 질과 함께 학습의 질 및 능률을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 그동안 제기된 여러 문제점을 남김없이 보완해 그 취지를 제대로 살려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5일제 수업은 학생에게 더 많은 여유를 허용해, 학교 밖 체험활동을 늘리고, 충분한 휴식으로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개성과 취미를 계발하고, 가족 간의 유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반면 현행 입시경쟁체제에선 사교육을 늘리고, 저소득층 아이들의 방임된 시간이 많아져 학습과 학생 지도에 공백이 생길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돼왔다. 사회적 돌봄이 필요한 학생들을 더 어렵게 만들 우려가 있는 것이다.
물론 문제가 있지만, 사회 전체가 주5일제로 나아가는데 학생과 교사만 예외일 수는 없다. 부작용은 보완할 대상이지, 주5일제 수업을 좌절시킬 이유는 되지 못한다. 무엇보다 시급히 보완할 것은 사교육 증가 가능성에 대한 대책이다. 사실 중고생들이 이른바 명문학교 진학에 목을 매고 있는 현실에서, 쉬는 날의 증가는 사교육과 사교육비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가정 형편이 따르지 못하는 가정도 울며겨자먹기로 사교육을 늘릴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책이 분명하지 않은 이상 주5일제 수업은 삐걱거릴 수밖에 없다. 토요일도 학교를 방과후 학습 공간으로 활용하는 등 학생들 수요에 맞추는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주5일제 수업이 성공하려면 학교뿐 아니라, 지역사회와 가정이 함께 교육의 주체로 서야 한다. 부모는 함께하는 체험학습 등을 통해 자녀에게 다양한 학교 밖 학습을 경험하게 하고, 지역사회는 도서관·박물관·문화시설 등을 개방하고 이를 활용한 학습 프로그램도 개발해 이런 노력을 뒷받침해야 한다. 그리고 교육의 질, 삶의 질을 높이려는 주5일제 수업의 취지와 달리 오히려 소외와 무관심의 그늘이 더 생기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 영세사업장 노동자, 자영업자, 한부모 보호대상자, 맞벌이 부부 자녀 등 돌봄 대상이 십수만명에 이른다. 이들을 체계적으로 돌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하지 못하면 주5일제 수업은 빛을 잃을 것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