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6.27 18:57 수정 : 2011.06.27 18:57

그제 진보신당 당대회에서 진보정당 통합을 약속한 ‘연석회의 최종합의문’이 승인을 얻지 못했다. 최종 결정을 8월 말까지로 미뤘지만 논의 전망은 불투명하다. 진보정치의 분열 극복을 기대하는 시민들에게는 답답하고 안타까운 결과다.

당대회에서 독자파 대의원들은 지난 5월31일 타결된 연석회의 최종합의문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3년 전 민주노동당과의 분당 때 불거진 문제들이 여전히 해결된 게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연석회의’ 합의문은 두 당만이 아니고 민주노총과 진보성향 교수단체 등 진보진영의 주요 지도자들이 두루 참여해 마련한 것이다. 특히 진보신당의 주장을 받아들여 진보신당에 우호적인 단체 인사들이 다수 참여했다. 진보신당 일부 대의원들이 작은 차이에 지나치게 집착한다는 인상을 심어주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진보정당의 경우 정체성과 순수성이 소중하다는 견해가 있음을 모르는 바 아니다. 하지만 정당은 동아리와 다르다. 정당은 어디까지나 선거에 공직 후보를 내고 유권자의 선택을 받고자 노력해야 하는 집단이다. 그런 만큼 적어도 정당정치를 하겠다면 시민들에 의한 대중적 평가를 가벼이 여겨선 안 된다. 민주노동당이 분당된 이래 3년 동안 진보정치가 발전하지 못하고 위축되었던 사정을 상기해야 하는 까닭이다. 더욱이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진보정치 대열의 정비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시간이 많은 것도 아니다. 그제 당대회 결과는 이런 현실과도 동떨어졌다.

진보신당 당대회는 연석회의 최종합의문에 대해 승인이든 거부든 명확한 결정을 하지 않았다. 마땅히 책임 있는 결정을 해야 할 시점에 그것을 피했다는 점에서 최악의 선택이라는 시각이 있다. 반면에 그나마 진보정당 통합의 불씨가 꺼지지 않도록, 그리고 통합에 좀더 많은 세력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려는 고육책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아무튼 현재의 정치 지형에서 볼 때 진보정치 대열을 정비하려는 노력은 중단 없이 계속돼야 한다. 이를 위해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지도부와 당원들이 좀더 분발하고, 열린 자세로 토론을 더 해줄 것을 촉구한다. 아울러 두 정당뿐 아니라 범진보진영 차원의 대중적인 논의와 지원도 필요할 터이다. 진보진영 대표자 연석회의를 다시 가동하는 것도 방법이다. 진보정당의 통합을 위해 다양한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