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6.29 19:09 수정 : 2011.06.29 19:09

한국방송(KBS)이 수신료 인상에 ‘올인’하면서 언론윤리마저 내팽개친 듯한 행태를 보이고 있다. 위로는 김인규 사장에서부터 아래로는 기자들까지 자사 이기주의에 매몰돼 공정성과 공영성을 상실한 모습이다. 오죽하면 제1야당이 최대 방송사와 관계가 불편해질 것을 감수하며 “취재 행태가 금도를 넘어서고 있다”고 비판했을까.

한국방송 기자들은 엊그제 민주당 의원들이 수신료 인상안 처리를 반대하며 농성을 벌인 국회 문방위에서 볼썽사나운 광경을 연출했다. 취재용 카메라를 6대나 동원해 의원들의 일거수일투족을 녹화했으며, 일부 기자들은 임시 취재증까지 끊고 회의장에 들어와 압박성 분위기를 조성했다. 특히 한 기자는 민주당 문방위원에게 “(내년 4월) 총선 때 보자”는 말도 했다고 한다. 시정잡배도 하기 어려운 협박을 서슴지 않은 것이나 다름없다. 민주당의 회의 내용을 몰래 녹음해 한나라당에 건넨 인물도 한국방송 기자인 것으로 사실상 확인되고 있다.

도를 넘은 기자들의 태도는 수신료를 어떻게든 올리겠다는 김인규 사장의 고집과 떼어놓고 생각하기 어렵다. 김 사장은 지난 25일 밤 수신료를 주제로 한 ‘생방송 심야토론’을 긴급 편성한 뒤 자신이 직접 출연해 수신료 인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게다가 아무런 예고 없이 70분이나 프로그램을 연장시켰다. 앞서 그는 지난 4월 임원회의에서 “일부 시민단체와 언론노조, 특히 케이비에스 출신 언론노조 위원장이 반대하고 있는데 악재를 말끔히 처리해 차질없이 해야 한다”는 공격적인 말도 했다. 사장이 이처럼 물불을 가리지 않으니, 기자들도 눈치를 보느라 발 벗고 나서지 않을 도리가 없다.

하지만 이런 구태는 국민 불신만 키울 뿐이며, 수신료 인상 가능성을 더욱 멀어지게 만든다는 사실을 한국방송 구성원들은 깨달아야 한다. 한국방송이 수신료를 올리는 지름길은 다른 데 있다. 하루빨리 공영방송의 기본가치인 정치적 독립성과 편성의 자율성을 확보하면 된다. 한국방송 새노조가 올해 초 취재기자와 피디를 대상으로 사내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 675명 가운데 94%(631명)가 ‘현 정부 출범 이후 케이비에스의 공정성이 악화됐다’고 답했다. 이런 현실은 외면한 채 수신료 인상을 위해 정치권 겁박이나 하고 있으니 기가 찰 노릇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