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6.30 19:13 수정 : 2011.06.30 19:13

여대생 성희롱으로 말썽을 빚은 강용석 의원(무소속) 제명안이 어제로 끝난 6월 임시국회에서 끝내 처리되지 않았다. 한나라당이 본회의에 의안을 상정하지 말자고 요청했고, 민주당도 이를 수용한 결과다. 국회가 또다시 동료 의원의 비리를 감싸고 도는 구태를 되풀이하고 있다. 여야 지도부의 맹성을 촉구한다.

강 의원은 지난해 7월 대학생들과의 회식 자리에서 여학생을 상대로 “남자는 다 똑같다. 그날 대통령도 너만 쳐다보더라. 옆에 사모님만 없었으면 네 번호 따갔을 것이다”라는 등의 성희롱을 했다. 또한 “다 줄 생각을 해야 하는데 그래도 아나운서 할 수 있겠느냐”며 특정 직업군 여성을 성적으로 비하했다. 그는 사건 얼마 뒤 한나라당에서 출당처분됐다. 1심 재판부는 의원직 상실형에 해당하는 징역 6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했다. 그가 국민의 대표 자격을 진작 잃었음은 의심할 나위가 없다.

한나라당도 그를 비호하진 않겠다고 말한다. 다만 국회의원을 제명하려면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의결이 필요한데, 당내 의견 정리가 덜 되었다는 것이다. 받아들이기 어려운 핑계에 불과하다. 한나라당이 공석에서 성희롱 발언을 서슴지 않는 그릇된 관행에 종지부를 찍겠다는 의지가 확고하다면, 미리미리 의원들을 독려해야 마땅했다. 가령 의원총회를 열어 성희롱이 사회적 약자인 여성들한테 얼마나 심각한 상처를 안기는지를 진지하게 토론한다면, 당내 합의를 이루는 게 어렵지 않을 것이다. 한나라당의 요청을 슬그머니 따른 민주당도 크게 다를 바 없다.

강 의원 사건이 일어난 지 벌써 1년이 됐다. 이런 식으로 징계 조처를 차일피일 미루다가 4년 의원직 임기를 사실상 채워주려는 것 아닌지 모르겠다. 만약 그렇게 된다면 여야가 한통속이 되어 잔꾀를 부린다고 지탄받아 마땅하다. 시민들의 분노가 강 의원 한 사람이 아니라 여야 지도부 모두를 향해 쏟아질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