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7.07 19:02 수정 : 2011.07.07 19:02

11년 열정과 집념이 이뤄낸 감동의 밤이었다. 열강의 대치, 분단과 군사적 위기, 금융위기 등 숱한 역경을 딛고 일어선 한국민의 의지를 마음껏 뽐낸 밤이기도 했다. 이로써 한국은 하계·동계올림픽, 월드컵,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등 세계 4대 스포츠제전을 모두 개최하는 여섯 번째 나라가 됐다. 그동안 불철주야 노력해온 시민과 체육·정·재계 관계자들의 노고에 경의를 표한다.

개최지 확정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야말로 우리가 도달해야 할 목표다. 매끄러운 대회 운영이나 경제적 성공도 중요하다. 그러나 올림픽마저 정치화·상업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스포츠를 통한 인간의 완성과 국제평화의 증진이라는 올림픽의 이상을 구현하는 것이야말로 참된 성공이라 할 것이다. 병탄과 전쟁과 분단의 아픔을 감당하고 있는 한국은 이런 정신을 꽃피울 최적지다.

관건은 한반도 긴장 완화다. 평창이 속한 강원도는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 그중에서도 전선이 관통하는 지방자치단체다. 남북의 정치·군사적 상황이 올림픽에 직접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곳이다. 지금의 긴장과 대치 상황에서는 성공을 기약하기 어렵다. 반면 남북의 협력 속에서 화해·평화를 일구는 올림픽이 된다면, ‘평창 2018’은 역사에 길이 남을 것이다. 사실 지금 상황에선 평화를 말하기조차 쑥스럽다. 남북 대치는 6·25전쟁 이후 최악이다.

환경 보호도 성공의 열쇠다. 우리는 아직 7개의 경기장을 더 지어야 하고, 각종 도로와 철도 개설이 추진된다. 자원 낭비와 함께 환경 파괴가 우려되는 까닭이다. 강원도의 힘은 자연의 힘이라는 사실을 잊어선 안 된다. 경제적 효과도 걱정이다. 1998년 나가노 겨울올림픽은 110억달러의 적자를, 2010년 밴쿠버 겨울올림픽 역시 50억달러의 적자를 냈다. 올림픽 이후 각종 경기장의 유지관리비 때문에 지방재정이 흔들리는 경우도 있다. 서울 상암동을 제외한 월드컵 경기장은 매년 20억원 이상씩 적자다. 직접효과 20조원, 앞으로 10년간 간접효과 43조원 등 허황된 숫자로 국민을 현혹해선 안 된다. 1994년 릴레함메르 겨울올림픽처럼 최대한 자연조건을 활용하고 개발을 최소화해, 환경 파괴와 재원 낭비를 줄이는 지혜가 필요하다.

이제 다시 시작이다. 운동화 끈을 다시 동여매야 한다. 무엇보다 남북의 화해·협력의 기운을 이끌어내는 데 전력 질주해야 한다. 공동응원은 물론 공동선수단의 구성, 금강산에서의 경기도 검토할 수 있어야 한다. 1988년 서울올림픽을 전후로 이루어진 화해·협력 속에서 남북관계의 일대 전기가 된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가 채택됐음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