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7.08 20:11 수정 : 2005.07.08 20:11

영국 수도 런던에서 1000명에 가까운 민간인을 숨지거나 다치게 한 연쇄 폭탄테러가 일어났다. 이탈리아 등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 병력을 보낸 다른 나라에 비슷한 공격을 가하겠다는 경고도 나왔다. 이라크에서는 알카에다 무장세력에 납치됐던 이집트 대사가 살해됐다. 심상찮은 상황이다.

명분이 무엇이든 비무장 민간인을 대상으로 한 공격은 용납될 수 없다. 이번처럼 불특정 다수를 겨냥한 대규모 테러는 더욱 그렇다. 약자가 취할 수 있는 최후 수단이 테러라고 하더라도 사정은 달라지지 않는다. 무고한 민간인을 살해한다고 해서 자신들의 정치적 목표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다. 지구촌 사람들의 공분만 커질 뿐이다.

그렇다고 각국이 지금처럼 대테러 대응책 강화에만 골몰하는 것은 해답이 되지 않는다. 비슷한 테러가 잇따르는 데는 뿌리 깊은 정치·역사적 이유가 있기 때문이다. 이번을 포함해 최근 몇 해 사이 일어난 여러 테러는 ‘미국의 불법적인 이라크 침공과 점령’이라는 공통 배경을 갖고 있다. 대형 테러가 이슬람 무장세력의 고유한 속성이라기보다는, 미국의 압도적 군사력에 대응하는 우회 전술이라는 성격이 강한 것이다. 이라크 침공 이후 세계가 더 불안해졌다는 여론이 국제적으로 드세진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이라크인들의 고통도 줄어들지 않고 있다.

따라서 개별 테러에는 엄격하게 대처하더라도, 정치·외교적 접근을 통해 문제를 근원적으로 풀어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이 미국이 이라크에서 물러나는 것임은 말할 나위도 없다. 미국이 힘을 앞세워 아랍세계를 지배하려 한다고 이슬람인들이 믿는 한 테러의 악순환은 끊기지 않는다. 미국 등 서방 나라들이 아랍세계와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을 함께 펼쳐야 함은 물론이다.

제2의 이라크 파병국인 영국이 테러를 당했는데 제3의 파병국인 한국만이 안전할 까닭은 없다. 이런 때 정부는 자이툰 부대의 임무 확대까지 생각하고 있으니 더 한심하다. 그러잖아도 내세울 명분도 거둬들일 실익도 없는 파병이다. 당장 철군을 검토해야 마땅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