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7.17 19:05 수정 : 2011.07.17 19:05

‘피디수첩’ 프로그램 중단 지시에 맞선 시사교양국의 이우환·한학수 피디를 문화방송이 비제작부서로 발령낸 데 대해 법원이 지난 15일 “무효”라고 결정했다.

이 피디는 ‘쌍용 해고자 2년’ ‘엠비시 특별기획 갠지즈’ 등을, 한 피디는 ‘황우석 3부작’ ‘아프리카의 눈물’ 등을 제작했다. 판결문에서도 인정했듯이 이런 “유능한 피디들”을 경기도 용인의 세트장 관리를 담당하는 부서나, 외주업체 제작 관리를 맡는 곳으로 보내 프로그램을 만들지 못하게 했으니 그런 인사를 무효로 판정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지난 4일 ‘엠비시 스페셜-여의도 1번지 사모님들’이란 프로가 방영되지 못한 데 책임을 지고 담당 시피(CP)가 사퇴하는가 하면, 최근에는 ‘사회적 발언’을 하는 인사의 고정출연을 금지하는 심의규정으로 김여진씨의 출연을 막는 등 김재철 사장 취임 이후 문화방송의 제작 여건은 갈수록 악화하고 있다.

문제는 이것이 문화방송만의 일이 아니라는 데 있다. ‘시사기획 쌈’을 제작했던 김용진 한국방송 기자는 울산으로 쫓겨가 가족들과도 떨어진 채 3년째 올라오지 못하고 있다. ‘미디어비평’ 등을 맡았던 김현석 한국방송 기자는 파면과 정직에 이어 강원도 춘천으로 쫓겨갔다. 와이티엔 노조위원장을 맡았던 노종면 기자는 대선캠프 특보 출신 구본홍 사장 임명에 항의하다 파면당한 뒤 소송중이다.

이명박 정부 들어 대선캠프 출신 낙하산 사장 임명에 반대하거나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부당한 간섭에 항의하다 파면·해임 등 징계를 당한 언론인은 지난해 말까지 180명, 지방 발령 등 부당한 인사를 당한 언론인까지 합하면 200명을 훌쩍 넘는다.

모두 정부의 무리한 방송장악 시도 때문에 벌어진 일들이다. 최근의 도청 의혹 사건 역시 정부의 방송장악 시나리오와 무관하지 않다. 수신료 인상으로 남는 광고를 조중동의 종편채널에 넘겨주겠다는 방송통신위원회와 무슨 수를 써서라도 수신료를 올리겠다는 한국방송의 과욕이 빚은 참사다. 공정방송을 지키겠다고 온몸으로 저항하던 동료들이 현장에서 쫓겨나고 있는 반대편에서 양심선언은 못할망정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려는 어처구니없는 작태가 계속되고 있다.

선거를 앞두고 정부의 방송장악 시도는 더 기승을 부릴 것이다. 방송인들이 막아내기에는 힘에 부친다. 야당과 시민들이 방송 감시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설 때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