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7.20 19:02 수정 : 2011.07.20 19:02

정부·여당이 다시 영리병원 도입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한나라당은 8월 임시국회에서 관련법의 처리를 공언했고,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취임 이후 일자리 창출, 외화 획득 등 근거 없는 효과를 떠벌리며 전도사 구실을 하고 있다. 엊그제는 영리병원 도입을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깔딱고개라고까지 말했다. 재벌의 새로운 먹잇감을 위한 이 정권의 노력이 집요하다.

영리병원 도입은 국민 건강과 의료까지 시장에 넘겨주자는 게 핵심이다. 특히 이미 삼성·현대·두산 등 재벌이 진출해 있는 만큼, 영리병원이 도입되는 순간 의료시장이 재벌에 장악되는 건 시간문제다. 삼성은 삼성증권이 인천 송도 경제자유구역에 미국 존스홉킨스 병원의 이름을 빌린 병원을 짓는 사업을 진행중이다. 그로 말미암은 국민건강보험 무력화, 의료비 상승, 의료 양극화, 지역의료 공동화 등은 더 언급할 필요도 없다.

영리병원의 일자리 창출 효과는 호도용일 뿐 아무런 근거도 없다. 영리병원은 말 그대로 이익의 극대화를 추구한다. 그러자면 비용, 특히 임금 비용을 줄여야 하며, 의료비는 늘리려 한다. 의료 종사자 감축과 의료비 상승은 피할 수 없다. 미국의 영리병원은 그 좋은 실례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2009년 연구 결과 영리병원 도입 때 국민의료비는 1조5000억~2조원 늘고, 중소병원은 대거 도산하게 된다. 일자리 증가는커녕 국민 부담만 는다.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없는 계층 또한 폭증한다.

외화 획득 주장도 전형적인 견강부회다. 재벌·족벌 언론의 주장을 앵무새처럼 되풀이하는 박 장관은 성공 사례로 인도와 타이 등을 꼽는다. 그러나 이들 나라의 강점은 영리병원 효과가 아니라, 한국의 2%, 10%에 불과한 인건비 효과일 뿐이다. 반면 재벌·족벌 언론이나 박 장관은 의료의 질은 세계 최고이지만 의료비는 최저 수준이어서 외국인들까지 몰리는 쿠바의 의료시스템은 언급하지 않는다.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도 쿠바에서 암 치료를 받고 있고, 심지어 미국인들도 쿠바의 의료시스템을 애용한다.

우리가 지향해야 할 의료체계는 무상에 준하는 유럽이나 쿠바 같은 시스템이지, 돈 없으면 진료 한 번 받을 수 없는 미국식 영리병원 제도가 아니다. 재벌에 의료시장 내주고 광고시장 늘려 종편 먹여살리자고 국민 건강 내팽개치는 짓은 그만두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