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주목되는 ‘범시민사회 원탁회의’ 출범 |
시민사회와 종교계, 시민정치운동 단체 주요 지도자들이 어제 ‘희망 2013·승리 2012 원탁회의’를 출범시켰다. 2013년 이후 우리 사회의 미래상을 세우고 2012년 총선·대선에서 민주·진보세력의 힘을 모으자는 행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년 선거에서 지금의 여당과 범야권이 일대일로 대응하는 구도를 만들자는 것이다.
이것은 지난해 초 범야권과 시민사회가 6·2 지방선거에 대처하고자 만든 ‘5+4 연대’와 문제의식은 비슷하다. 하지만 그때는 범야권이 힘을 합치지 않으면 이명박 정부의 퇴행적 행태를 바로잡을 수 없다는 위기의식이 강했다. 반면에 지금은 야당가에 긴장감이 없고 일각에선 자만심마저 느껴진다. 이명박 정권이 임기말 증후군에 빠진 것을 두고 마치 야당이 잘해서인 줄로 착각하는 게 대표적이다. 범야권 차원에서 2013년·2012년 논의가 이뤄지지 않는 것도 이런 배경 탓이다.
가장 걱정스러운 건 제1야당인 민주당의 태도다. 민주당은 야권통합을 위한 연석회의 구성을 제안했지만 이렇다 할 반향을 얻지 못하고 있다. 민주당의 제안에 진정성이 모자라 보이기 때문이다. 민주당 내부에는 통합을 반대하는 기류가 적지 않다. 공천 지분 따위가 얽힌 사정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당 차원에서 그런 문제를 정리하려는 토론도 없고, 당대표가 통합 논의에 무게를 싣지도 않고 있다. 민주당이 겉치레로 통합 흉내만 낸다고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작은 야당들도 문제다.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의 통합은 진보신당 내부 이견 때문에 8월로 늦춰졌다. 국민참여당의 합류 여부도 9월 이후로 미뤄진 상태다. 이들 세 당 통합을 놓고도 복잡한 논쟁이 있음을 모르는 바 아니다. 그러나 설령 이들의 통합이 이뤄지더라도 범야권·시민사회 차원의 총선·대선 협력 그림이 나오지 않는다면 그 의미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 작은 야당들도 자기들만의 논의에 안주해선 안 된다.
2013년 미래상을 세우고 2012년 일정에 대비하는 일은 간단한 과제가 아니다. 올해 12월11일이면 벌써 19대 총선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된다. 범야권 차원의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데 주어진 시간도 몇달밖에 안 된다. 통합이든 연대든, 2013년 미래상을 위한 정책 개발이든 협력 경로는 다양할 것이다. 어제 출범한 원탁회의가 상황을 타개하는 데 큰 구실을 해주길 기대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