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7.29 18:55 수정 : 2011.07.31 10:24

한진중공업 사태는 일개 사업장의 노동쟁의 차원을 떠나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갈등과 모순을 응축해 보여주는 사건이다. 비정규직 문제를 비롯해 대기업의 횡포, 부당한 노동탄압 등은 정치권이 발벗고 나서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정치·사회적 의제이기도 하다. 오늘 또다시 3차 ‘희망버스’가 부산으로 가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나라당은 어제 민주당이 요구해온 한진중공업 사태 국회 청문회를 수용할 뜻이 있다고 밝혔다. 한진중 사태를 수수방관하고 심지어 “공권력을 동원해 해결해야 한다”는 따위의 주장을 펼쳐온 것에 비춰보면 긍정적 변화다. 하지만 한나라당이 내건 청문회 개최의 전제조건은 납득하기 어렵다. 한나라당은 민주당 쪽에 “김진숙 등 5명의 불법 고공농성자의 퇴거를 적극 노력해서 관철시킬 것”을 요구했다. 한나라당 특유의 ‘발상의 구제불능’을 보여주는 어처구니없는 요구조건이 아닐 수 없다.

200일 넘게 계속돼온 김진숙씨의 크레인 고공농성은 한진중공업 사태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아이콘과도 같다. 그나마 정치권이 한진중 사태에 이 정도의 관심을 쏟게 된 것도 김씨의 처절한 고행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정리해고자 복직 등 한진중 사태가 원만히 해결되지 않는 한 김씨가 크레인에서 내려오지 않으리라는 것도 분명하다. 이런 정황을 모를 리 없는 한나라당이 굳이 김씨의 고공농성 해제를 국회 청문회 전제조건으로 내건 것은 스스로 사태 해결의 의지가 없음을 실토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한나라당이 오히려 신경을 써야 할 대목은 조남호 한진중 회장의 청문회 증인 출석이다. 조 회장은 청문회 증인으로 채택된 직후 외국으로 나가 한달 보름이 넘도록 돌아오지 않고 있다. 이는 국회 권능을 무시하고 의원들을 모욕하는 행위로 한나라당으로서는 분개해야 마땅하다. 그런데도 한나라당은 조 회장의 도피성 해외체류는 못 본 척하면서 김진숙씨의 고공농성 해제 타령이나 하고 있으니 번지수를 잘못 찾아도 한참 잘못 찾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