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8.07 18:48 수정 : 2011.08.07 18:48

오늘 열리는 권재진 법무부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의 최대 쟁점은 큰아들 병역 문제다. 그런데 권 후보자 쪽이 자료 제출을 거부해 의혹이 커지고 있다.

권 후보자 큰아들은 2002년 9월부터 2년 남짓 경기 포천 ㄱ사에서 산업기능요원으로 근무하는 것으로 병역을 대체했다. ㄱ사는 권 후보자의 절친한 친구가 운영하던 곳으로, 큰아들이 살던 서울 대치동에서 대중교통으로 왕복 5시간이나 걸리는 곳에 있어 제대로 근무하지 않은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낳고 있다. 1년 뒤 이사했다는 의정부에서도 왕복 2시간 반이나 걸린다. 권 후보자 쪽은 “친구 회사에 가서 힘들게 생활해보는 게 인생에 도움이 될 것 같아 소개해줬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서울 강남구에도 산업기능요원으로 근무할 수 있는 회사가 많았는데 왜 굳이 왕복 5시간이나 걸리는 회사를 지원했는지, 변리사를 목표로 삼은 서울공대생이 납땜이나 포장 일을 배우러 그곳까지 찾아간 이유가 무엇인지 등 의문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더구나 비슷한 시기 작은아들은 집 근처 지역예비군동대에서 상근예비역으로 근무한 것을 보면 ‘힘든 생활’ 운운하는 해명은 그대로 믿기 어렵다.

권 후보자 쪽은 당시 큰아들과 함께 근무했던 산업기능요원들을 직접 만나 확인할 수 있도록 연락처를 달라는 야당과 언론의 요구를 ‘사생활 보호’ 등을 내세워 완강히 거부하고 있다. 이미 문을 닫은 ㄱ사의 전 사장인 권 후보자 친구와 간부 등이 나서서 “성실하게 근무했다”고 주장할 뿐이다.

한상대 검찰총장 후보자와 마찬가지로 권 후보자도 핵심 의혹 관련 자료를 제때 내놓지 않아 사실상 진상 규명을 방해하고 있다. 유독 검사 출신들의 국회 무시 행태가 되풀이되는 것도 그냥 넘길 일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또 맹탕 청문회가 반복되면 국회 스스로 무능을 자임하는 꼴이다. 국회는 청문회 일정을 연장해서라도 큰아들 병역 의혹을 파헤쳐야 한다.

어제는 한 기업인이 “옛 여권을 지원한 의혹이 있다는 이유로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보복성 기획수사를 했다”고 주장하며 변호인과 권 후보자의 통화 내용을 공개했다. 총리실의 민간인 사찰 사건 증거인멸을 위해 청와대 행정관이 대포폰을 총리실에 건네고 결국 검찰 수사가 흐지부지될 때 청와대 민정수석도 바로 권 후보자였다. 어차피 하루 청문회로는 부족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