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패전 66년이 지나도록 동아시아를 괴롭히는 일본 우익 |
일본 패전으로 한반도 식민지배가 끝난 지 오늘로 66년째다. 그만한 세월이 지났는데도 한-일 관계는 여전히 삐걱거리고 동아시아는 아직도 ‘분쟁’ 중이다.
전후 66년의 이 불편과 불안 속에서도 분명히 변화는 있다. 한국을 찾은 일본인이 지난해 300만명을 넘어서고 두 나라를 오가는 사람은 한 해에만 540만명 이상이다. 이런 활발한 민간교류로 두 나라 간의 오랜 심리적·역사적 장벽이 허물어지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느낌도 든다. 최근 한류가 확산되면서 일본에서 한류 반대 시위 사태가 빚어진 것도 어떤 면에서는 양자관계를 특징짓던 기존의 틀과 관념이 새롭게 바뀌고 있음을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런 변화는 분명 두 나라 모두에 큰 득이 될 것이다. 또한 새로운 중국의 등장과 함께 요동치고 있는 동아시아 정세 재편과 안정화에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 한-일 간의 소용돌이 기류를 보면 이런 낙관은 무망하게 여겨진다. 오히려 더 위태로운 국면으로 가고 있는 게 아니냐는 불안감마저 드는 게 광복 66년의 현실이다. 전후 50여년 만에 이뤄진 일본 정권 교체와 과거사에 대한 반성적 언급, 동북 대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이뤄진 대일 민간지원 등을 계기로 양국 관계는 새 차원을 맞는 듯했다. 그러나 ‘제국일본의 영광’에 집착하는 일본우익의 독도 논란 촉발로 그 희망은 다시 깨져버렸다. 울릉도 방문 기획에서 보듯 그들의 주장은 더욱 거칠어지고 있다. 미국은 독도의 일본해 단독표기 의견으로 한국인들의 상처에 소금을 뿌렸다. 지금의 독도 문제를 낳은 당사자이기도 한 미국의 일본 위주 동아시아 전략은 바뀔 조짐을 보이지 않는다.
경위는 다르지만 일본이 중국 및 러시아와 겪고 있는 이른바 ‘영토 갈등’의 배경에도 과거사에 대한 반성이 없는 일본 우익들의 퇴행적 사고가 깔려 있다. 이로 인한 동아시아 불안정은 독일의 과거사 청산이 가져다준 유럽의 안정과 선명하게 대비된다. 일본 우익은 자신들의 조국을 지난 세기 군국일본의 기억 속에 붙잡아두고 있을 뿐 아니라 자신들의 침략으로 고통당한 이웃들을 여전히 괴롭히면서 동아시아 전체의 평화와 번영을 가로막고 있다. 이를 바꾸려면 미국·일본 쪽으로만 기울어진 우리 외교전략도 다시 짜야 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