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8.17 19:13 수정 : 2011.08.17 19:13

어제 열린 국회 지식경제위원회의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에 대한 공청회’는 대기업과 우리 사회 일반의 깊은 간극을 확인한 자리였다. 공청회에 참석한 허창수 전경련 회장, 손경식 대한상의 회장 등 경제단체장들은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을 위해 노력하고 사회공헌을 늘리겠다고 말했다. 그렇지만 대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에 대해 불편한 심정을 드러내고, 동반성장은 규제나 지원정책보다 기업 자율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태도를 견지했다.

지난 6월 공청회 참석을 거부했던 허 회장은 공청회 전날 출장을 떠났다가 우여곡절 끝에 참석했다. 업무상으로 바쁠 수 있지만 공청회를 불편하게 여기는 듯하다. 허 회장은 협력사 지원과 사회공헌이 늘어났다며 일부 잘못된 사람들과 홍보 부족 탓에 부정적 인식이 확대재생산됐다고 말했다. 대기업 전체적으로는 별문제가 없다는 방어적인 인식에 그쳐 실망스럽다.

여야 의원들이 공청회에서 지적했듯 우리 사회는 대기업 중심의 경제와 양극화 문제를 풀지 않으면 시장경제의 지속성과 사회 전체가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등이 켜져 있는 상태다. 대기업의 중소기업·영세자영업 영역 침범, 협력 중소기업 납품단가 후려치기, 2·3세 계열사의 문어발식 확장으로 경제 생태계가 파괴될 지경이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은 “한국의 중소업체들은 태어나자마자 삼성·엘지·에스케이라는 대기업 동물원에 갇히고 죽어야만 빠져나올 수 있다”고 비유했다. 이명박 대통령이 탐욕에서 윤리경영으로, 자본의 자유에서 자본의 책임으로, 부익부 빈익빈에서 상생 번영으로 진화하는 새로운 시장경제 모델이 요구된다며 공생발전을 제안한 것도 이런 위기감의 발로일 터이다.

전경련은 폐지론이 나온 배경을 곱씹어봐야 한다. 재벌의 이익집단으로 행세해서는 존재할 이유가 없다.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공생발전을 진지하게 고민할 때 존속 가치가 있을 것이다. 대기업은 혼자 성장한 것이 아니라 정부의 전폭적 지원, 국민과 중소기업의 희생을 바탕으로 성장했다. 대·중소기업 상생을 대기업의 일방적인 희생이나 이익 포기로 볼 게 아니라 이제는 사회공동체 전체를 위한 본연의 책무로 받아들여야 한다. 대기업이 투명경영 윤리경영에 앞장서고 중소기업과 함께 성장하고 과실을 나눌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드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때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