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8.26 19:10 수정 : 2011.08.26 19:10

오세훈 서울시장이 결국 어제 사퇴했다. 그가 사퇴 시기를 늦추지 않고 곧바로 자리에서 물러난 것은 본인을 위해서나 서울시정 공백 최소화를 위해 다행스러운 일이다.

한때 ‘합리적 보수’ ‘클린 정치인’의 대명사처럼 여겨졌던 그의 초라한 퇴장은 정치인의 처신과 선택에 대해 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오 시장은 서울시장 재선 성공이라는 행운 속에서 좀더 큰 정치인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었다. 야당이 다수 의석을 점유한 서울시의회와의 원만한 관계를 통해 소통의 리더십을 보여줄 수도 있었고, 내실 있고 알뜰한 살림살이로 국가운영 능력의 잠재성을 과시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그는 모든 면에서 거꾸로 갔다. 한편으로는 전시성 행정에 천문학적인 예산을 쏟아부으면서도 복지병에 따른 재정파탄을 운운하는 이율배반적 태도를 보였고, 승부를 걸지 않아야 될 사안에 모든 것을 거는 만용을 저질렀다. 그리고 자멸했다.

오 시장이 야인으로 돌아갔다고 해서 그의 정치적 생명이 끝난 것은 물론 아니다. 지난날의 과오를 깊이 성찰하고 새롭게 변신한다면 정치적 재기의 문은 열려 있다고 본다. 하지만 어제 퇴임의 변을 들어보면 그런 기대가 무망해 보인다. “이번 주민투표는 대한민국 민주주의 발전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등의 발언은 여전히 그가 미몽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만약 그가 ‘주민투표를 통해 잃은 것보다 얻은 게 많다’라든가, ‘보수의 아이콘으로 확실히 자리매김했다’는 등의 칭찬에만 솔깃한다면 정치적 재기의 기회를 얻기 어렵다.

10월26일 치러질 서울시장 보궐선거는 단순히 후임 시장을 뽑는 의미를 넘어 그동안 벌어진 각종 논쟁에 대한 유권자의 총체적 심판을 받는 자리다. 따라서 각 정당은 무상급식, 무상보육, 반값 등록금, 부자 감세 등 당면한 각종 현안에 대해 종합적인 정책 청사진을 제시해야 한다. 당장 한나라당은 서울시가 거부하고 있는 무상급식 예산지원 문제를 비롯해 한강 르네상스, 서해뱃길 사업 등 오 시장이 추진해온 전시성 사업을 계속 추진할 것인지에 대한 명쾌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 야당 역시 ‘보궐선거 승리는 따놓은 당상’이라는 따위의 착각에 빠지지 말고 더욱 정교하고 설득력 있는 정책 마련에 힘을 쏟아야 한다. 야권 후보 단일화 역시 야당 앞에 놓인 엄중한 과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