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국민참여당의 진보통합 가세, 공론화로 풀어야 |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이 어제 새로운 통합 진보정당을 만들기로 하고 당 운영 방안과 강령 초안 등에 합의했다. 두 당과 시민사회 진영이 지난 5월31일 진보정당 통합에 합의하고도 후속 논의에 난항을 겪던 끝에 가까스로 다음 단계로 들어섰다. 어제 민주노동당은 임시 당대회를 열어 합의안을 인준했다. 내달 4일 진보신당 당대회에서도 건설적인 방향으로 의견을 모아내길 기대한다. 다소간의 의견 차이가 있더라도 통합과 조정력을 발휘해 진보정당이 분열만 일삼는 집단이 아님을 보여줘야 할 때다.
어제 합의안은 국민참여당의 통합정당 합류 문제를, “합의하기 위해 진지한 논의”를 한다는 수준에서 정리했다. 민주노동당이 참여당을 동참시키길 희망하고, 진보신당은 참여당의 가세에 부정적인 상황에서, 이견을 어정쩡하게 봉합한 셈이다.
참여당 문제에는 흥미로운 논점들이 있다. 예를 들면, 일각에선 참여당이 진보세력이 아니라 자유주의 세력이기 때문에 통합정당에 합류시키면 진보정당의 정체성이 훼손된다고 주장한다. 유시민 참여당 대표가 한-미 자유무역협정 체결 등 참여정부 국정수행의 한계점을 반성했지만 그것만으로 부족하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반면에 참여당이 5·31 진보통합 연석회의 합의문을 수용하기로 결의하고 서면 동의서까지 냈는데, 그 이상으로 노선의 순결성을 요구하는 건 지나치다는 반론이 있다. 참여당이 참여정부를 송두리째 계승하는 것도 아닌데, 그 정당을 상대로 한없이 참여정부의 부채 문제를 따지는 게 부질없다는 견해도 있다.
참여당 문제는 어떤 한쪽이 절대적으로 옳거나 그르다고 단언하기 어렵다. 하지만 지금처럼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의 소수 협상 대표들만이 논의를 독점하는 것은 분명히 문제가 있다. 진보정치의 전망이 걸린 중요한 쟁점인데도 당원들과 시민들이 뭐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몇 달째 모른다는 건 정상이 아니다. 대표단 수준의 협상으로 시원한 결론을 내지도 못했다. 밀실 논의를 오래 하다 보면 각 정파의 아집이 굳어질 수도 있다.
참여당 문제는 진보정당 통합의 마지막 난제다. 어떻게든 풀어야 한다. 이제는 소수 대표단이 독점하던 논의를 개방하고, 쟁점을 전면적으로 공론화할 때가 됐다. 관련된 세 정당이 모두 도입하고 있는 당원 총투표 제도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