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9.06 19:04 수정 : 2011.09.06 19:04

<문화방송>(MBC)이 어제 주요 일간신문에 대국민 사과 광고를 냈다.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문제를 다룬 2008년 4월의 ‘피디수첩’이 저널리즘의 기본을 간과한 사실이 대법원 판결에서 드러나 사과드린다는 내용이다. 문화방송은 밤 9시 ‘뉴스데스크’ 등을 통해서도 사과 방송을 했다. 재판 결과를 잘 알지 못하는 독자·시청자라면 피디수첩이 유죄 판결이라도 받은 것으로 오해할 법하다. 하지만 피디수첩은 대법원에서 무죄가 확정됐다.

피디수첩 사태에 대한 대법원 판결의 핵심은 자명하다. “정부 또는 국가기관의 정책 결정이나 업무수행은 항상 국민의 감시와 비판의 대상이 되어야 하며, 이런 감시와 비판은 언론보도의 자유가 충분히 보장될 때 비로소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권력에 대한 감시 기능이 보도의 일부 잘못보다 더 중요하다는 의미다. 이런 상식을 외면한 채 정치권력과 검찰, 보수언론 등은 피디수첩에 재갈을 물리려고 끊임없이 헐뜯고 공격했다. 그 결과 우리 사회는 3년4개월 동안 불필요하고 소모적인 공방을 벌여야 했다.

따라서 대법원 판결을 계기로 국민에게 머리를 숙여야 할 당사자는 정부와 검찰, 그리고 수구언론이다. 그런데도 엉뚱하게 문화방송은 사실과 다른 일부 보도 내용을 이유로 사과를 하고, 취재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바로잡겠다고 나섰다.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통제를 강화해 제2, 제3의 피디수첩을 만들지 않겠다는 공개 선언으로 들린다. 문화방송 내부에선 피디수첩 제작진을 인사위원회에 회부할 것이라는 소문이 나돈다고 한다.

문화방송이 권력에 대한 감시·비판을 기본 책무로 삼는 제대로 된 언론이라면 발표해야 할 성명은 따로 있었다. 비판 언론을 끊임없이 탄압하는 정치권력과 검찰 등을 질타하고 언론자유 수호 의지를 천명하는 성명이다. 그런 가운데 사소한 잘못도 용납하지 않는 책임 있는 언론이 되겠다고 다짐했다면 국민 모두가 박수를 보냈을 것이다. 하지만 사과문 어디에서도 정치권력이나 검찰에 대한 비판은 찾아볼 수 없다.

문화방송의 사과는 정권과 가까운 김재철 사장이 언론의 책무를 포기하고 정권 코드 맞추기에 발벗고 나선 것이라는 비판을 받기에 충분하다. 김 사장은 언론자유에 역행하는 ‘반성문’을 쓴 것을 사과해야 한다. 그리고 더이상 공영방송의 최고 책임자 자리를 지키고 있어선 안 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