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9.26 19:05 수정 : 2011.09.26 19:05

진보정당 통합이 난항에 부닥쳤다. 지난 4일 진보신당이 당대회에서 민주노동당과의 통합 제안을 부결시킨 데 이어, 그제는 민주노동당에서 국민참여당과의 통합 제안이 대의원 3분의 2 지지를 얻지 못했다. 이로써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의 분열을 극복하고 뜻을 함께하는 다른 정당·사회단체와 함께한다는 의미에서의 ‘진보 대통합’은 사실상 좌절됐다. 노회찬·심상정 전 대표를 주축으로 진보신당 탈당파들이 민주노동당에 집단합류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애초의 큰 그림에 비해 초라하기 짝이 없는 모양새다.

그동안의 과정을 돌아보면 진보정당 사람들은 무엇보다 생각의 차이를 조정하는 능력이 부족한 게 문제다. 진보정치 운동이 단순히 진보적인 이론을 공부하고 토론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생각의 차이는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학술 동아리가 아니라 시민들의 지지를 받아 정책을 실현할 것을 목표로 삼는 정당이라면, 활동 기풍이 전혀 달라야 한다. 즉 차이만을 부각시키기보다 차이에도 불구하고 합의를 만들어내는 게 중요하고 그것이 시민들의 신뢰를 얻는 방법이기도 한다. 진보신당 일부 정파의 행태가 유감스러운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국민참여당 합류 논란도 좀 그렇다. 민주노동당과 참여당의 통합이 최상의 정치발전 경로는 아닐 수 있다. 참여당은 진보정당보다 민주당과 노선이 가깝다는 주장도 근거가 없지 않았다. 하지만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민주노총, 진보적 교수단체 등은 한-미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입장 등 일련의 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동의하는 모든 세력을 통합 진보정당에 모으겠다고 결의했다. 5·31 연석회의 결의문에 담긴 이런 내용에 맞춰 참여당은 기왕의 정책노선을 공식 수정했다. 그런데도 민주노동당이 다시 참여당은 자유주의 세력에 불과하다며 문을 닫아거는 모양이 됐다. 진보 노선의 순혈성을 지키겠다는 동기를 이해 못 할 바는 아니다. 하지만 폐쇄적인 태도를 고집해서는 대중적 기반을 넓히기 어렵다.

안철수 돌풍은 기성 정당의 혁신 필요성을 강하게 일깨웠다. 열린 자세로 과감하게 변화해야 하기로는 민주당과 진보정당이 다를 게 없다. 내년 총·대선 국면에서 진보적 가치를 확산시키기 위해서라도 통합이든 연대든 연합정치를 강화하는 게 절실한 상황이다. 이런 터에 진보정당이 사분오열을 거듭해서야 되겠는가. ‘진보 대통합’은 일단 좌초됐지만 5·31 연석회의 결의문의 취지를 살려나갈 또다른 통합과 연대의 길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