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9.28 19:10 수정 : 2011.09.28 22:29

‘박원순 펀드’가 화제가 되고 있다.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준비중인 박 변호사가 목표했던 38억8500만원의 선거자금을 펀드 방식으로 사흘 만에 너끈히 모았다. 펀드 방식은 먼저 선거자금을 빌려 쓰고 나중에 국고보전금을 받아 이자를 붙여 후원자한테 되돌려주는 것이다. 지난해 지방선거 때 유시민 국민참여당 경기도지사 후보가 처음으로 시도한 바 있다. 여러모로 정치개혁 차원의 의미를 새겨볼 만한 움직임이다.

무엇보다 이 방식은 공직선거의 문턱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선거에는 돈이 많이 들고 그런 판에 섣불리 뛰어들었다가 패가망신할 수 있다는 게 우리 사회의 통념이다. 그 때문에 공직에 봉사할 뜻과 나름의 능력을 갖추고도 순전히 돈이 없어 나서길 망설이는 사람이 적지 않다. 그 결과 주로 돈 있는 사람들만이 정치를 하게 된다면 그것은 바람직한 사회가 아니다. 펀드 모금이 보편화되면 시민들의 공무 담임 접근성이 늘어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비용을 조달한다면 정치인이 돈 때문에 발목 잡히는 일도 줄어들 것이다. 본래 세상일에 공짜는 없는 법이다. 선거 때 신세를 지면 언제든 갚아야 하기 마련이다. 선거비용을 검은돈에 의존하고, 그 대가로 나중에 특혜나 이권을 제공하는 부패 구조도 척결되지 않은 상태다. 하지만 펀드 방식은 빌려 쓴 자금에 이자를 붙여 갚아버리면 그만이다. 참여한 사람들의 뜻을 고맙게 기억하되 그 이상으로 빚이 되지는 않을 터이니 훨씬 투명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박원순 펀드에는 어제까지 7000명이 넘게 참여했다고 한다. 제법 많은 숫자다. 낸 돈을 나중에 돌려받으니까, 그냥 후원금을 내고 마는 것에 비해 시민들이 참여하기가 한결 쉬울 것이다. 시민들의 정치참여가 확대되는 것은 기본적으로 바람직한 일이다. 참여하지 않고 욕만 하고 있어서는 정치를 바꿀 수 없다. 공직자의 전횡은 시민들의 냉소주의를 먹고 자란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선거비용 펀드는 외국에 없는 우리만의 독특한 실험 성격이 있다. 선거관리위원회가 ‘해도 무방하다’고 할 따름이지, 제도적 근거는 아직 없다. 앞으로 정치관계법을 개정할 때 관련 근거를 정비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물론 기본 방향은 시민들의 참여를 확대하되 부작용 여지를 미리 없애는 쪽이 되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