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10.04 19:19 수정 : 2011.10.04 19:19

손학규 민주당 대표가 어제 서울시장 야권 단일후보를 민주당이 내지 못한 데 책임을 지겠다며 대표직 사퇴 뜻을 밝혔다. 범야권을 지지하는 시민과 지지자들이 경선 과정에서 보여준 참여 열기에 찬물을 끼얹는 참으로 무책임한 처사가 아닐 수 없다.

서울시장 선거의 비중 등을 두루 고려할 때 민주당 사람들이 받은 충격을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하지만 이번 과정에선 누가 최종적으로 후보가 되었느냐보다는 야당과 시민사회가 협력해 범야권 단일후보를 만들어냈다는 사실이 훨씬 중요하다. 이런 틀이 정착된다면 야권이 내년 총선과 대선을 통해 진보와 개혁의 가치를 실현할 가능성도 커지는 것 아닌가. 그제 야권 단일후보 선출은 여러 관련 주체들이 나름대로 성숙함을 발휘한 결과로 봐야 한다. 손 대표의 행동을 이해할 수 없는 첫째 이유다.

손 대표는 ‘민주당의 60년 전통’을 지키지 못한 책임을 내세웠다. 민주당이라는 아주 좁은 시각으로만 본다면 그런 측면도 전혀 없진 않다. 하지만 야당과 시민사회가 단일후보 선출 절차에 합의할 때는 누가 당선되든 결과에 흔연히 승복하고 본선 승리를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전제가 깔린 것이다. 자기 당 사람이 안 되었다고 대표가 사퇴한다면, 앞으로 다른 연합경선에서도 최종적인 후보는 반드시 민주당이 거머쥐어야 한다는 논리밖에 안 된다. 이렇게 행동하면서 야권 대통합을 주장하는 것은 모순이다. 손 대표의 행동을 책임감의 발로라고 볼 수 없는 까닭이다.

대표직을 사퇴해도 박원순 후보 지원에 차질이 없을 것이라는 말도 공허하다. 그제 야당과 시민사회 대표자들은 공동의 정책을 제시하고 공동 선거운동본부를 꾸리겠다고 밝혔다. 그 합의가 이행되도록 제1야당 대표가 주도적인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은 말할 나위가 없다. 전당대회 차점 득표자인 정동영 최고위원이 대표직을 승계하거나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서 대처하면 된다고 손 대표 쪽이 주장하지만 효율성이 없음은 불 보듯 뻔하다.

민주당 사람들만으로 경선 흥행도 안 될 듯하던 상황에서 범야권 통합 경쟁 무대를 만들어 경쟁력 있는 후보를 찾아냈다면, 민주당은 나름의 구실을 한 것이다. 안철수·박원순 바람이 일깨우는 것도 바로 이런 발상의 전환 필요성이다. 제1야당이 좀더 넓은 안목에서 자신들의 소임을 재규정하는 게 절실한 시점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