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10.10 19:05 수정 : 2011.10.10 22:21

아프리카 카메룬의 다이아몬드광산 개발을 둘러싼 의혹이 확산되고 있다. 개발을 추진한 업체 씨앤케이(C&K) 마이닝의 주가가 급등락을 거듭한 가운데 정부기관이 주가를 떠받쳐주었다는 의문이 나오고 있다. 권력 실세의 개입, 언론인의 부적절한 유착 가능성 등 대형 권력형 비리 사건으로 간주할 만한 정황들이 엿보인다.

외교부는 지난해 12월 “씨앤케이 마이닝이 카메룬에서 적어도 추정 매장량이 4억2000만캐럿인 다이아몬드 개발권을 획득했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냈다. 그 뒤 주당 3000원대이던 이 회사의 주가가 몇 주일 만에 1만8000원대로 급등했다. 외교부가 특정 업체의 자원개발 소식을 보도자료에 담아 발표하는 것 자체가 이례적이다. 게다가 외교부가 애초 유엔개발계획의 보고서를 근거로 4억2000만캐럿의 매장량을 추정했다고 밝혔으나 알고 보니 이 수치는 씨앤케이 탐사보고서 내용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 와중에 당장 외교관 출신인 조중표 전 국무총리실장(장관급)이 씨앤케이 주식 26만여주를 매각해 막대한 시세차익을 얻었다고 한다. 조 전 실장은 2009년 퇴직 뒤 이 회사 고문으로 들어갔다. 한 방송사 간부는 자기 돈에 은행 대출금을 보태 이 회사 주식 200만주를 사들였다가 되팔아 막대한 평가차익을 거뒀다고 한다. 정부기관이 특정 업체 주가를 공공연히 띄운 모양새와 특정 인사들이 막대한 차익을 챙긴 과정을 보고, 권력형 실세가 배후에 작용했으리라고 의심하는 것은 너무도 당연하다.

의혹의 중심에는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이 있다. 박 전 차장은 국무차관이던 지난해 5월 카메룬을 방문해 필레몬 양 총리와 만나 씨앤케이의 다이아몬드 개발사업을 논의했다. 그는 지난 6일 국회 지식경제위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직책상 당연한 업무 수행 외에 이권과 관련된 일은 전혀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그의 해명만 믿고 넘어갈 수 있는 상황은 전혀 아니다.

외교부가 특정 업체를 과대 홍보한 배경과 권력 실세의 개입 의혹 등은 반드시 밝혀내야 한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3월부터 이 사건을 조사하고도 시간이 더 필요하다면서 결과를 내놓지 않고 있다고 한다. 외압에 흔들리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불러일으키는 대목이다. 금감원과 감사원 등이 제 할 도리를 다하고, 그 결과에 따라 검찰 수사도 벌여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