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10.21 19:11 수정 : 2011.10.21 19:11

법원이 신재민 전 문화부 차관과 이국철 에스엘에스(SLS)그룹 회장에 대해 청구한 구속영장을 기각한 데 대해 검찰이 “이해할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영장 내용과 법원의 기각 사유를 되짚어보면 검찰의 잘못이 크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수사 능력이 모자랐다기보다 의지가 부족했던 탓으로 보인다.

검찰이 이 회장에게 횡령 등 4가지 혐의를 적용하면서 신 전 차관에 대해선 1억여원어치 카드 사용 혐의만 적용한 것부터 잘못됐다. 비리를 저지른 사람보다 오히려 이를 폭로한 사람을 겨냥한 듯한 본말전도 수사라는 의심을 받을 만했다. 수사 초점을 우선 신 전 차관에게 맞추고 이 회장 관련 혐의는 추후에 따져도 충분했으나 검찰은 순서를 뒤바꿨다. 이 회장이 “검찰이 진실을 덮기 위해 영장을 청구하는 것”이라고 주장한 것처럼, 검찰 고위층 비리 등 연일 새 사실을 터뜨리는 그의 입을 막아놓으려 했던 게 아니냐는 의문이 생길 수밖에 없다.

신 전 차관에 대해 적극적인 수사를 벌이지 않았다는 의심을 살 만한 대목은 여럿이다. 대표적인 게 2007년 이명박 대통령 후보 캠프였던 안국포럼 시절의 정치자금법 위반 의혹 부분이다. 지난해 8월24일 신재민 장관후보자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장병완 민주당 의원은 ㅈ기업이 렌트한 그랜저 차량을 신 전 차관이 무상으로 이용했다고 폭로했다. 정치인이었던 만큼 정치자금법에 위반될 가능성이 크고, 공소시효(5년)도 남아 있음에도 검찰은 이 혐의를 영장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 회장이 회사 법인카드를 넘긴 행위 자체를 횡령으로 본다면 이를 사용한 신 전 차관은 횡령의 공범이 될 수도 있다. 이 회장 주변을 샅샅이 뒤졌듯이 신 전 차관의 재산 형성 과정도 파헤쳤어야 형평에 맞는다는 견해도 있다. 그런데 달랑 법인카드 1억여원어치 사용 혐의만으로 영장을 청구했으니 면피성 수사라고 해도 할 말이 없게 된 것이다. 법원이 “의심의 여지가 있으나 추가 수사로 실체적 진실이 더 규명될 필요가 있다”고 한 것도 졸속수사 가능성에 대한 경고라고 봐야 할 것이다.

신 전 차관 수사는 이 사건의 첫 고개에 불과하다. 아직 갈 길이 멀다. 검찰은 이 회장의 입에만 의존하지 말고 수사 인력을 대폭 보강해서라도 제대로 수사하기 바란다. 정권 눈치 보는 검찰은 필요 없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