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11.03 19:06 수정 : 2011.11.03 19:06

서울 노원구 월계동 주택가 도로에서 서울지역 평균 환경방사선량의 20배가 넘는 방사능이 검출됐다고 한다. 환경운동연합 등이 엊그제 한 조사에선 방사선량이 시간당 최대 2.5마이크로시버트로 계측됐다. 이는 지속적으로 노출된다고 가정할 경우 일반인의 연간 피폭 허용치를 크게 넘어서는 수준이다. 원자력안전기술원 조사에서도 이 지역의 방사선량은 1.4마이크로시버트로 서울지역 평균보다는 훨씬 높게 나왔다. 이와 관련해 원자력안전기술원은 해당 지점에 하루 1시간씩 1년간 서 있어도 연간 허용 선량의 50%에 지나지 않아 그다지 위해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의 불안을 해소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무책임한 주장이다.

원자력안전기술원 역시 환경운동연합이 제기한 대로 특정 아스팔트 재료에 방사성 물질이 섞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앞서 경주, 포항 등지의 도로에서도 방사선량이 높다는 민간 신고가 접수된 바 있다. 아스팔트가 오염됐다면, 그 지역 아스팔트는 이미 포장된 지 5년이 넘어 장기간 방사능을 누출했을 위험이 높다. 인근 학교 앞 도로에서도 방사선이 검출됐다고 하는 상황이다.

더군다나 이번 조사에서 검출된 방사성물질이 세슘137이란 점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세슘은 몸 깊숙이 파고들어가 오랫동안 남아 있으면서 건강에 위협을 가하기 때문에 플루토늄과 함께 가장 위험한 방사성물질로 꼽히고 있다. 미량의 방사선이라도 인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게 의학적으로 타당한 판단이라고 한다. 기준치 이하의 방사선이라도 암이나 백혈병 따위의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원전 당국이 환경기준치 이하의 방사선은 인체에 무해하다는 주장만 되풀이해서는 주민 불안을 가라앉힐 수 없다. 당국은 아스팔트의 유통경로 등을 면밀히 추적해 다른 지역은 문제가 없는지도 확인하고 필요한 안전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방사성물질 안전 불감증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오히려 원전 중흥의 기회로 삼으려는 정부의 태도에도 기인한다. 정부는 원전 건설 및 수출을 늘리고 노후 원전의 수명을 연장하겠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기준치 이하면 문제없다는 식으로 원전과 방사능의 위험을 축소하는 데 급급했다. 지난봄 아스팔트 재료 문제가 제기됐는데도 손 놓고 있었던 게 그 방증이다. 이제라도 국민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삼고 대책을 세우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