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11.17 19:13 수정 : 2011.11.17 19:13

진보정당들이 어제 통합에 합의했다.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 진보신당 출신의 노회찬·심상정 전 의원과 조승수 의원 등 통합연대 세력이 단일 정당을 만들기로 했다. 진보정치가 침체를 벗어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일이다.

이번 합의에는 우여곡절이 많았다. 진보신당은 통합이냐 독자 정당이냐를 놓고 세력이 다시 한번 쪼개졌다. 그럼에도 이번 합의는 평가해줄 대목이 있다. 무엇보다 2008년 민주노동당 분당을 빚은 갈등의 주역들이 다시 같은 배에 올라타고 협력하며 경쟁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 점이다. 민주노동당은 2004년 총선에서 10명의 국회의원을 당선시키면서 기염을 토했으나 그 뒤 진보정치의 존재감이 현격히 떨어졌다. 분당과 분열, 진영 내부의 갈등과 반목이 주요 원인이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국민참여당의 합류를 두고 진보정치가 우경화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참여당이 한때 자유주의를 표방했고 민주당의 노선과 좀더 가까웠던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참여당은 진보통합에 함께하기 위해 정책노선을 공식 수정했다. 대표적으로 한-미, 한-유럽연합 자유무역협정 반대를 선언했다. 의사결정 기구를 구성하는 데도 기존 진보정당 비율이 높고 참여당 몫은 작다고 한다. 그렇다면 진보정치가 외연을 넓힌 것으로 평가해도 큰 무리는 없을 것이다.

더욱 중요한 것은 진보정당들이 통합 이후 어떻게 하느냐이다. 가뜩이나 ‘안철수 바람’이 불면서 기성 정당들의 취약성과 한계점이 드러나고 있고, 이는 진보정당도 예외가 아니다. 진보정당은 무엇보다 시민들의 새로운 정치적 욕구를 이해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정당문화를 혁신해 20~30대 중심의 자유롭고 발랄한 문화적 감수성과 눈높이를 맞춰나가려는 노력이 시급하다. 기성 진보정당들은 경직된 내부 문화 탓에 매력을 잃고 있다는 지적을 새겨야 한다.

이번 합의로 범야권의 지형이 새로 짜이게 됐다. 민주당과 ‘혁신과 통합’ 중심의 중통합, 통합 진보정당, 그리고 진보신당이 병립하게 되는 구도가 그것이다. 이 구도에는 그 자체로 새로운 긴장 요인이 적지 않을 것이다. 이런 상황일수록 통합 진보정당이 정책적 선도성을 유지하면서도 범야권 차원에서 연합정치의 지혜를 세심하게 발휘해주길 기대한다. 물론 이런 점은 다른 정파도 마찬가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