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박근혜 의원, 부산일보 사태 해결할 책임 있다 |
부산지역의 유력일간지인 <부산일보>에서 경영진이 노조와 갈등을 빚다 신문 발행을 중단시키는 사태가 벌어졌다. 부산일보는 박근혜 한나라당 의원이 이사장으로 있었던 정수재단(정수장학회)이 소유한 일간신문이다. 경영진이 일방적으로 편집권을 침해했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사태일 뿐 아니라, 유력한 대선주자가 과거의 잘못과 여전히 절연하지 않고 있는 점도 의아스럽다.
사태는 엊그제 부산일보사 편집국의 움직임에서 비롯됐다. “유력 대권후보인 박근혜 전 대표가 정치무대에 나선 만큼 신문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정수재단과의 완전한 분리가 필수적”이라며 재단의 사회환원 등을 촉구하는 기사를 실으려 하자, 김종렬 사장이 윤전기를 못 돌리게 했다. 이 기사는 노조와 편집국장까지 동의했는데 경영진이 편집국장을 대기발령하면서까지 신문 발행을 막았다고 한다. 유례가 드문 심각한 편집권 침해 행위다.
문제의 근원은 정수재단과 박근혜 의원에게 있다. 정수재단은 1961년 5·16 쿠데타 뒤 중앙정보부가 부산 기업인 고 김지태씨의 부일장학회를 강제로 헌납받아 만든 것이다. 이름도 박정희 전 대통령과 부인 육영수씨 이름을 따서 붙였다. 박 전 대통령 친인척과 측근 중심으로 운영해왔고 박 의원도 1995년부터 10년 동안 이사장을 맡으며 활동비와 승용차를 제공받았다. 국가기구인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는 2007년에 헌납의 강제성과 불법성을 인정하고 국가가 빼앗은 재산의 환원을 권고했다.
박 의원 쪽은 문제의 재단이 공익재단으로 “진작 사회에 환원되었”고, 이사장도 2005년에 내놓았다고 해명하는 모양이다. 하지만 당장 1979년 10·26 당시 자신을 보좌한 최필립 전 청와대 의전비서관이 후임 이사장을 맡은 건 뭔가. 그런데도 박 의원이 재단과 무관하다고 하면 누가 믿어주겠는가. ‘정치적 장물’로 볼 수 있는 정수재단에서 박 의원이 10년씩이나 활동비를 얻어 쓴 것도 옳지 않았다. 게다가 아직도 위탁관리자를 두고 언론사 사장 인선에까지 관여한다는 시비를 불러일으키는 것은 대통령이 되겠다는 사람의 자세가 전혀 아니다.
부산일보 노조와 편집국 간부들의 문제제기는 너무도 정당하다. 경영진은 편집권 침해 시도를 즉각 중단하기 바란다. 박 의원도 이번 기회에 정수재단과 완전하게 절연해야 마땅하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