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야권통합, 박지원 의원의 열린 자세가 필요하다 |
민주당과 ‘혁신과 통합’의 통합 논의가 삐거덕거리고 있다. 문재인 ‘혁신과 통합’ 상임대표는 그제 혁신 없는 통합이라면 통합을 포기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정치권에 대한 전면적 쇄신 요구에 부응한 제1야당의 환골탈태가 필요한 시점에 바람직스럽지 않은 소식이다.
가장 큰 쟁점은 통합정당의 지도부 선출 방식을 둘러싼 이견이다. 민주당의 유력 당권주자인 박지원 의원 쪽은 당원주권론을 주장하면서 버티고 있다고 한다. 정당의 주인은 당원이니 통합정당 지도부도 당원이 중심이 되어 뽑아야 한다는 게 당원주권론의 요지다. 민주당이 전체 지지자의 요구를 제대로 수렴할 기반과 체계를 갖추고 있다면 당원주권론은 맞는 이야기다. 하지만 지금의 민주당은 2007년 대선을 거치면서 쪼개져 당원 기반이 특정 지역과 중·고령층 위주로 위축된 상태다. 바로 그런 현실이 야권통합을 추진하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
‘혁신과 통합’ 쪽엔 기성 관념에 따른 당원이 별로 없는 게 사실이다. 대신 새로운 정치변화를 갈망하는, 상대적으로 온라인이나 에스엔에스 이용에 능숙한 지지자들이 제법 있다고 한다. 이런 터에 당원 주권만 내세운다면 기존 민주당 세력들이 새 정당의 주요 자리를 독차지하는 결과를 가져오기 쉽다. 이렇게 되면 민주당 체질을 확 바꾼다는 느낌을 주지 못하고 되레 기존 민주당 세력의 기득권만 굳히는 결과가 될 우려도 있다. 문 상임대표를 비롯한 ‘혁신과 통합’ 쪽 인사들이 이런 상태로는 통합에 참여하기 어렵다고 경고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박 의원 쪽의 협상 태도도 문제다. 박 의원 쪽 대리인들은 협상에 불참하거나 협상 자리를 뛰쳐나가기 일쑤라고 한다. 시간이 흐를수록 민주당의 제안을 거부하기 어려운 ‘혁신과 통합’의 약점을 파고들어 상대방을 구석에 몰아넣으려는 의도로 읽힌다. 보기 좋지 않다. 이렇게 해서 신당 창당에 이르는 복잡한 논의를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박 의원은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서 정치를 배웠다고 말해 왔다. 하지만 최근 그의 행태는 고인의 뜻과도 배치된다. 김 전 대통령은 생전에 “내가 70%(세력을 갖고 있)지만 70%를 내주고 30%만 먹고도 통합을 하겠다는 자세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야권통합의 대의를 위해 박 의원을 비롯한 기존 민주당 세력들이 좀더 열린 자세로 나서야 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