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12.09 19:09 수정 : 2011.12.09 19:09

어제 홍준표 의원의 대표직 사퇴로 한나라당이 지도부 공백 상태가 됐다. 집권당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극에 이른 점을 생각하면 그의 퇴진은 당연하다. 특히 홍 대표는 재창당 운운하면서 막판까지 자기 살 궁리만 하다가 당내 모든 계파한테 버림받고 말았다. 끝까지 수준 낮은 처신으로 국민들의 정치 혐오증을 가중시킨 셈이다.

이제는 한나라당이 어떻게 체제를 정비할 거냐가 관심사다. 이와 관련해선 과도체제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렸다가 내년 초에 전당대회를 여는 방법이 유력하다고 한다. 신당 창당 또는 재창당 수준의 체제 개편을 거론하기도 한다. 어떤 경로든 박근혜 의원이 전면에 나서서 당을 이끌도록 한다는 데는 당내에서 큰 이견이 없는 듯하다. 한나라당의 실질적인 큰손이면서도 배후에 머물던 박 의원이 당권을 공식 접수하게 되는 셈이다.

위기에 빠진 정당이 자구책을 모색하는 건 당연하다. 정당이 어려울 때 유력한 지도자를 중심으로 결속하는 것도 이상한 일이 아니다. 문제는 그 과정에서 민주 정당으로서의 원칙을 무너뜨려선 안 된다는 점이다. 정당은 의회민주주의를 실천하는 대표적인 기관이다. 그 내부 운영원리로도 민주주의 원칙을 당연하고도 확고하게 지켜야 한다.

그런데 한나라당에서 대권과 당권을 분리하는 당헌 조항을 수정하자는 주장이 자연스럽게 확산되고 있다. 대선 주자인 박 의원이 당권을 장악하는 데 걸림돌을 제거하자는 것이다. 의아스럽고 유감스러운 일이다. 대권·당권 분리 조항은 2004~06년 박 의원이 한나라당 대표를 맡았을 때 정당 민주화 차원에서 도입한 것이다. 박 의원 자신이 그동안 대표적인 정치개혁 업적으로 꼽기도 했다. 이 조항을 없애는 것은 정당 민주주의의 중대한 후퇴가 될 수밖에 없다.

한나라당이 지도부 공백을 빨리 수습하길 기대한다. 하지만 아무리 혼란스럽더라도 정당 민주화 원칙을 포기해선 안 될 터이다. 대표적으로 당권·대권 조항을 고쳐 제왕적 당수 체제로 되돌아간다면 국민들의 눈높이에도 맞지 않을 것이다. 아울러 비록 과도체제에서라도 선관위 사이버공격 사건에 대해 필요한 조처를 해야 한다. 민주주의 근간을 흔든 중대범죄에 대해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어떤 쇄신이 가능하겠는가. 국민들의 시선을 결코 가볍게 여겨선 안 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