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12.11 19:09 수정 : 2011.12.11 22:40

오는 14일 일본 도쿄에선 시민들이 외무성을 포위하는 시위를 한다고 한다. 서울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이 1000번째 수요집회를 여는 날, 할머니들과 연대하려는 것이다. 비록 작지만 일본의 살아있는 양심을 보는 것 같아 반갑다. 일본 정부에는 경종이, 우리 할머니들에겐 따듯한 위로가 될 것이다.

이번 행사는 일본의 전국적 시민단체 네트워크인 ‘전국행동 2010’이 추진해온 것으로, 280여개 지역 단체들이 동참해 지역에서부터 행동에 돌입했다. 이미 시민 1000명이 위안부 할머니를 응원하고 일본 정부의 사죄를 촉구하는 구호를 적은 가로세로 10㎝의 천 1000장을 일일이 이어붙여 가로 900㎝, 세로 125㎝의 펼침막도 제작했다. 평화를 향한 연대의 상징이기도 한 이 펼침막은 14일 수요집회에 전달된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여전히 막무가내다. 제 나라 시민들의 이런 열망마저 무시하고, 할머니들의 피맺힌 가슴에 돌을 던진다. 최근 위안부 할머니들은 수요집회 1000회를 맞아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소녀상으로 형상화한 평화비를 세우기로 했다. 꽃다운 나이에 일본군 성노예로 끌려간 할머니들의 소녀시절 사랑과 평화의 꿈을 담은 것이다. 그런데 일본 정부 대변인인 관방장관은 엊그제 평화비를 설치해선 안 된다는 뜻을 한국 정부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한-일 외교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게 이유였다.

실제 주한 일본대사는 지난달 말 우리 외교부에 평화비 제막을 막아달라고 요청했다. 타국 외교시설의 안전과 품위 유지에 협조해야 한다는 빈(비엔나)협약 규정을 거론했다고 한다. 수많은 소녀의 꿈과 인생을 유린한 자들이 그들의 한맺힌 작은 행동에 제 품위 떨어진다고 항의하다니 참으로 기막힌 노릇이다. 일본 정부는 그동안 할머니에게 단 한번도 책임있는 일을 하지 않았다. 심지어 유엔인권위원회까지 법적 책임을 요구했지만 아예 무시했다. 최근엔 피해 할머니들의 개인 청구권과 관련한 우리 정부의 협상 제안마저 묵살하고 있다.

전국행동의 펼침막에 담긴 소망은 대개 ‘위안부 문제 즉각 해결’, ‘조속한 사죄와 배상’, ‘할머니에게 정의를’ 등이었다. 일본 정부는 공연히 볼멘소리를 할 게 아니다. 제 시민의 소리라도 경청해야 한다. 진작에 그랬다면 평화비 등의 행동은 없었을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