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12.16 19:13 수정 : 2011.12.16 19:13

한나라당이 곧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다. 박근혜 의원은 비대위원장으로서 총선 공천을 비롯한 당 운영 전권을 부여받았다. 민심 이반에 직면해 사분오열을 면치 못하는 한나라당 처지에서 이해되지 않는 일은 아니다. 박근혜 비대위 체제 가동과 함께 한나라당 내부는 일단 안정을 찾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한나라당의 체제 정비 과정을 국민의 눈높이에서 보게 되면 여전히 우려되는 대목이 적지 않다. 당장 그제 한나라당 의원총회 모습은 민주 정당의 모습과는 거리가 멀었다. 2년7개월 만에 처음으로 의원총회에 참석한 박 의원의 면전에서 동료 의원들은 낯뜨거운 아부 발언들을 쏟아냈다. 친박계인 윤상현 의원은 “박 전 대표를 존경하고 사랑하고 신뢰한다”고 말했다가 동료 의원한테 면박까지 당했다. 봉건시대 머슴이 여주인한테 머리를 조아리는 모양새와 다름없다는 비판이 쏟아진 것도 무리가 아니다. 벌써 이런 식이라면 앞으로 한나라당에서 1인 권력자 중심의 사당화가 얼마나 극성을 부릴지 짐작하고도 남는다.

대권과 당권 분리를 규정한 당헌을 고친 것도 마찬가지다. 이 규정은 박 의원이 당대표를 맡고 있던 2005년 정치개혁 차원에서 도입한 것이다. 당수 한 사람 중심의 제왕적 지배체제를 없애자는 뜻이었다. 그것을 당권을 접수한 박 의원이 대선후보로 나서는 데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해 고쳤다는 것이다. 한나라당이 위기에 놓인 만큼 일정 기간 비상체제가 불가피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럴수록 부작용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지금 방식이라면 1인 중심의 줄세우기는 더욱 극심해질 수밖에 없다. 다양한 국민여론을 대변하고 반영한다는 정당의 고유 기능도 실종되기 쉽다.

한나라당이 쇄신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당이 이명박 대통령의 거수기로 전락해 외곬으로 내달리다가 민심의 저항을 불렀기 때문 아닌가. 비상체제라고 해서 특정한 한 사람이 제왕적 권력을 휘두르도록 하는 것은 시대의 흐름에도 맞지 않는다. 한나라당은 민심이 정치권에 요구하는 변화가 무엇인지를 잘 읽을 필요가 있다. 자유로운 소통과 탈권위주의로 나아가는 흐름을 외면하고 권위주의에 기대려는 건 해답이 아니다.

비상한 상황에 선 한나라당이 체제 정비를 한다며 겨우 ‘박근혜의 사당’으로 귀결된다면, 이는 변화를 바라는 민심에 역행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