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1.03 19:13 수정 : 2012.01.03 19:13

비상대책위원회 출범 직후부터 시작된 한나라당 내 파열음이 날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정권실세 용퇴론’과 ‘일부 비대위원 사퇴론’이 정면으로 부딪치며 쇄신은커녕 자칫 당이 두 동강 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제기된다.

개혁과 쇄신 과정에서는 으레 삐걱대는 소리가 나오기 마련이다. 그러나 지금 한나라당 모습은 새로운 창조를 위한 무질서와 혼돈으로 좋게 봐줄 수만은 없는 수준이다. 쇄신의 목표와 과정이 뒤엉키고 꼬이면서 무엇이 옳고 그른지 갈피를 잡기 어렵게 됐다. 비대위원들은 완장 찬 점령군처럼 행동하고, 친이계들은 비대위원들의 과거 전력을 꼬투리 잡아 ‘비대위 흔들기’에 나섰다. 모두들 입으로는 반성을 말하지만 한나라당에서 진심으로 반성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어 보인다.

국정파탄에 일차적 책임이 있는 친이계의 반성 없음은 그렇다 치고 비대위원 쪽도 문제가 있기는 마찬가지다. ‘재창당 수준의 혁신’이라는 어려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좌충우돌만이 능사가 아니다. 치밀하고 꼼꼼한 전략, 상황을 돌파하는 고도의 정치력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처신은 너무 가볍고 말에는 절제가 부족하다.

비대위가 야심작으로 내건 사업들 가운데 일부는 실소를 자아낸다. ‘디도스 검찰수사 국민검증위원회’가 대표적이다. 이번 사건의 피의자 격인 한나라당이 검찰 수사를 ‘검증’하겠다는 발상도 어처구니없지만 ‘김어준 총수 영입’ 따위의 대중 관심 끌기 시도도 별로 유쾌하지 않다. 비대위의 요구대로 최구식 의원이 결국 탈당했으나, 그렇다고 한나라당의 책임이 면탈되는 것도 아니다. 비대위가 제대로 된 정책쇄신과 정치개혁에 박차를 가하는 대신 이런 이벤트 만들기와 꼬리 자르기에나 치중하니 ‘정치적 쇼’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다.

이제 관심의 눈길은 비상대책위원장인 박근혜 의원에게 쏠린다. 비대위원의 인선과 운영은 물론 비대위원들의 폭탄성 발언들에 대한 책임 역시 궁극적으로는 박 의원에게 있기 때문이다. 박 의원은 어제 정당대표 라디오연설에서 인적 쇄신을 둘러싼 당내 갈등과 관련해 일단 비대위원들의 손을 들어줬다. 하지만 앞날은 순탄치 않아 보인다. 당의 개혁을 책임질 비대위가 거꾸로 손볼 대상으로 몰리는 상황부터가 박 의원으로서는 난감한 대목이 아닐 수 없다. 이제 박 의원의 리더십은 본격적인 시험대에 섰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