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01.05 20:41 수정 : 2012.01.05 20:41

그동안 소문으로 떠돌던 전당대회 ‘돈봉투’ 거래 문제가 폭로돼 정치권에 일대 회오리바람이 불고 있다. 고승덕 한나라당 의원은 “18대 국회에서 치러진 전당대회에서 후보 중 한 명한테서 300만원이 든 봉투를 받아 돌려준 적이 있다”고 폭로했다. 집권 여당의 대표를 뽑는 경선 과정에서 돈봉투가 버젓이 오갔다는 사실이 만천하에 공개된 것이다.

정당의 대표 등을 뽑는 전당대회가 ‘돈 먹는 하마’와 같다는 것은 정치권에서는 공공연한 비밀이다. 후보들이 표를 사기 위해 돈봉투를 은밀히 돌리거나, 거꾸로 표를 가진 쪽에서 후보 쪽에 손을 내밀며 노골적으로 금전을 요구했다는 소문이 끊이지 않았다. 하지만 이런 표 매수 행위에 제대로 메스가 가해진 적은 없었다. 지난 2004년에도 원희룡 한나라당 의원이 “국회에 들어온 뒤 두 차례의 원내총무 경선에서 후보들이 의원들에게 돈봉투를 제공하는 것을 보았다”고 폭로했으나 흐지부지됐다. 이번 사건이 정치권의 해묵은 치부를 드러낼 ‘판도라의 상자’가 될지 주목되는 이유다.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신속히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것은 잘한 일이다. 고승덕 의원이 검찰에서 진실을 소상히 밝히겠다고 했으니 돈을 뿌린 후보가 누구인지는 조만간 밝혀질 것이다. 하지만 이 사건은 단순히 해당 후보와 고 의원만의 문제가 아니다. 한나라당 주변에서는 “18대 국회 들어 치러진 세 차례 전당대회 때마다 혼탁한 양상을 보였다”며 오고 간 구체적인 돈의 액수까지 나도는 형편이다. 검찰은 세 차례의 전당대회 실상을 면밀히 파헤쳐 돈봉투를 받은 의원과 원외 인사들이 누구인지 낱낱이 밝혀내야 한다.

민주통합당은 호재를 만난 듯 한나라당을 맹렬히 비난하고 나섰지만 야당 역시 한나라당을 꾸짖을 형편이 못 된다. 금권선거에서 자유롭지 않기는 오십보백보이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당장 오는 15일로 예정된 전당대회가 백설처럼 깨끗하게 진행되고 있다고 자부할 수 있는가.

이번 사건은 한나라당의 쇄신 문제 등과 맞물려 미묘한 정치적 파장을 예고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비대위 쪽이 추진하는 ‘친이세력 물갈이’가 탄력을 받을 수도 있고, 아니면 쇄신작업 자체가 물거품이 될 정도로 당 전체가 큰 타격을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번 사건은 정치적 유불리 차원을 떠나 돈봉투로 정당 대표를 뽑는 후진 정치를 끝장내는 계기가 돼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