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현대차 노조원 분신, 원인 규명하고 후속 대책 마련해야 |
지난 8일 발생한 현대자동차 조합원 신아무개씨의 분신 사태를 둘러싸고 노사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현대차 노조는 어제 낮부터 울산 엔진공장 조업을 전면 중단한 데 이어 울산공장 전 사업부에서 잔업을 거부해 사실상 파업에 맞먹는 단체행동에 들어갔다. 신 조합원 분신의 명확한 원인 규명과 함께 적절한 후속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진통이 더욱 커질 조짐이다.
무엇보다 먼저 규명돼야 할 것은 노조 주장처럼 회사 쪽의 부당한 현장통제와 노동탄압이 신 조합원 분신에 도화선이 됐느냐 하는 점이다. 분신 직전의 신 조합원 행적과 노트북에 남긴 글 등으로 추정해 보면, 그의 극단적인 선택은 현장통제와 연관됐을 가능성이 크다. 이달 초 신 조합원은 자신이 근무하는 엔진5부 매암동공장의 엔진 불량 문제 등에 대한 의견서를 감사팀장에게 보냈고, 곧바로 감사팀이 감사에 들어갔다. 그리고 분신 전날 부서장한테서 작업장을 이탈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한다. 그의 노트북 글에는 “왜 현장탄압을 하느냐. 감사실 투고 건 보복 아니냐”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한다.
그렇지만 회사 쪽은 이런 정황을 무시하고 현장탄압이 없었다는 태도를 고수하고 있다. 현대차 주변에선 우발적인 사건이라거나, 강성 노조가 존재감을 과시하려고 무리한 공세를 하고 있다는 등의 주장도 나돈다고 한다. 이런 주장은 사태 해결은커녕 갈등만 키우는 불씨일 뿐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세계 5대 자동차회사에 진입하는 등 세계적 초거대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하지만 이런 위상에 걸맞지 않게 후진적 노사관계로 비판을 받아왔다. 대표적 사례가 근로기준법을 위반한 장시간 노동이다. 회사 쪽은 이 문제가 사회적 논란이 되자 최근 생산직 1400여명 신규채용 등의 대책을 내놓았지만, 여전히 미흡하다는 노동계의 지적을 받고 있다. 법원이 불법파견이라고 판단한 사내하청 노동자들의 정규직화는 여전히 부지하세월이다.
현대차는 중장기 비전으로 ‘자동차에서 삶의 동반자로’를 내세운다. 회사의 가장 중요한 동반자가 노동자여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회사 쪽은 노조와 함께 신 조합원의 분신 이유를 찾고 사태 수습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아울러 장시간 노동 체제의 근본적인 변화와 사내하청 정규직화 등 상생의 노사관계를 위한 기틀을 조속히 마련하는 것이 옳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