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유럽 재정위기 끝나려면 아직 멀었다 |
국제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푸어스(S&P)가 지난 주말 유로존(유로화 사용 지역) 9개 국가의 신용등급을 무더기로 하향 조정했다. 최고 등급(AAA)을 유지했던 프랑스와 오스트리아는 AA+로 한 단계 낮췄고, 포르투갈과 키프로스 등은 투기등급으로 강등했다. 이로써 한동안 잠잠했던 유로존 위기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번 신용등급 강등은 유로존 위기가 여전히 진행중임을 보여준다. 에스앤피는 유로국가들이 재정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취한 조처들이 유로존의 ‘구조적인 스트레스’를 해결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고 신용등급 강등 배경을 설명했다. 이탈리아와 스페인이 올해 들어 국채를 성공적으로 발행하는 등 위기 해결에 진전을 보이긴 했지만 에스앤피는 이를 미흡하다고 평가한 것이다. 이는 유로존 위기가 구조적으로 완전히 해결되기에는 아직도 많은 난관이 남아 있음을 뜻한다.
해당국들이 이번 신용등급 강등에 이례적으로 강하게 반발하는 것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이들의 강한 반발에는 나름의 이유가 있긴 하다. 유럽 정상들은 지난달 재정통합 강화 협약에 합의하는 등 재정위기 타결에 진전을 보여온 게 사실이다. 이런 마당에 에스앤피가 무더기 등급 강등을 했으니 선뜻 수긍하기 힘들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기존의 조처만으로 유로존 위기가 완전히 해결될 수 있을지 의문을 갖고 있는 것 또한 현실이다. 유로존은 국가간 협조체제를 더욱 강화해 재정위기 해소에 한층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당장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가장 우려스러운 건 유럽계 자금의 대량이탈 사태지만 지금으로선 그럴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아 보인다. 하지만 유로존 위기가 한두 달 안에 끝날 수 있는 사안이 아닌 만큼 길게 보고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 특히 그리스 등 부채위기가 심각한 국가의 디폴트로 인한 유로존 붕괴 등 최악의 상황을 가정한 대책도 함께 마련할 필요가 있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