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시리아 사태, 아사드 퇴진으로 실마리 찾아야 |
지난해 3월 이래 거의 1년 가까이 지속되고 있는 시리아 사태가 또 한 차례 고비를 맞고 있다. 아사드 독재정권 타도 투쟁으로 시리아에서는 지금까지 6000여명의 민간인이 목숨을 잃었다. 최근 들어서는 정부군의 이탈이 늘어나면서 내전으로 비화할 조짐마저 보인다. 더이상의 민간인 희생을 막는 것이 국제사회의 일차적 책임이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아랍연맹이 작성한 새 결의안 채택을 위한 논의를 본격화한 까닭이다. 결의안은 아사드 대통령의 즉각 퇴진과 총선 실시 등을 요구하고 있다. 문제는 거부권을 지닌 러시아가 반대해 결의안 통과 가능성이 별로 없다는 데 있다.
1970년 쿠데타로 집권한 아버지, 2000년에 이를 세습한 아들의 아사드 2대에 걸친 40여년 장기독재체제의 유혈폭압은 어떤 명분으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 그럼에도 러시아는 외부세력의 내정간섭적 시리아 체제 전복에 반대하고 있고 중국 역시 정치적 협상을 통한 해결을 주장한다. 일부에서는 수십억달러에 이른다는 러시아-시리아 무기거래 등을 거론하면서 국익만 챙기는 러시아 또는 중국의 비인도적 처사를 비난한다. 그러나 그 점에서는 인권과 민주주의를 앞세운 서방도 크게 다를 바 없다는 지적도 있다.
시리아는 국민 다수가 수니파지만 권력은 소수 시아파의 알라위 집단이 잡고 있다. 이들 종파간 분쟁의 성격도 지니고 있는 시리아 사태에서 아사드의 집권 알라위파는 시아파가 절대다수인 이란, 레바논의 헤즈볼라, 팔레스타인의 하마스 등과 엮여 있다. 서방, 특히 미국의 입장에서 아사드의 제거는 지금 대미 대결자세를 강화하고 있는 이란 고립 방책과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아랍연맹을 주도하는 카타르 등이 친미국가이고 이들이 리비아 사태 때도 서방 개입의 물꼬를 텄다. 아사드는 시리아 사태가 제2의 리비아식 체제전복을 노리는 이들 친미 아랍국들과 서방의 작품이라며 유혈진압을 정당화한다. 러시아와 중국이 우려하는 것도 실은 시리아 체제전복이 이란의 체제전복과 친서방화로 이어져 서방의 석유패권 강화로 귀결되는 것이다.
이런 냉혹한 국제 권력게임이 시리아 사태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는 면이 있다. 그렇다고 아사드 정권의 만행이 정당화될 수 있는 건 결코 아니다. 오히려 그가 물러나고 진정한 민주주의에 기반한 정권이 나타날 때 시리아가 국제적 게임의 대상에서 벗어날 수 있다. 서방과 러시아도 중동의 안정과 시리아 국민들의 이익을 위해 무엇이 바람직한 길인지를 논의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
기사공유하기